“고등학교 풍경 달라진다”…대학처럼 수강하는 고교 학점제 2022년 도입

고등학교에서 학생이 진로와 적성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배우고, 기준학점을 채우면 졸업을 인정받는 ‘고교학점제’가 오는 2022년 본격 시행된다. 이에 교육부는 고교학점제 도입을 목표로 내년부터 3년간 연구·선도학교를 운영하고, 교원 수급 개선방향 등을 포함한 장·단기 제도 마련에 나선다.

 

27일 교육부에 따르면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서울 한서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계획’을 발표했다. 김 장관은 이 자리에서 중장기적 준비와 검토, 충분한 공론화를 거쳐 오는 2022년 도입을 목표로 고교학점제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다양한 과목을 선택·이수하고, 누적 학점이 기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인정받는 제도이다. 수업은 학년 구분없이 들을 수 있으며, 토론과 실습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교육부는 고교학점제 도입 첫 단계로 정책연구학교(60교, 일반계고·직업계고 각 30교)를 선정해 3년간 운영하며, 지정된 연구학교마다 해마다 4천~5천만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학교마다 필요한 제도 개선사항을 발굴하고, 인프라 소요를 파악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교육부는 교원과 학생, 학부모 등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국가교육회의 논의 등을 거쳐 세부 실행 방안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김 장관은 “고교 체제 개편, 교육과정 및 수업·평가 혁신, 대입제도 개선 등과의 연계를 통해 학점제 도입을 준비하겠다”며 “학점제 도입으로 학생은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고, 교사는 수업과 평가에서 자율성·전문성을 발휘해 교육과정이 다양해지는 등 고교교육 혁신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태·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