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지역 곳곳에 지난 1960~1970년대 1급 발암물질인 석면 재질의 슬레이트로 지어진 축사들이 방치돼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주택 위주로 슬레이트 제거작업 예산을 지원하고 있어 형평성 논란과 함께 축사와 공장 등으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8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70동, 올해 51동 등 매년 국ㆍ도비 지원을 받아 슬레이트 노후 주택들을 대상으로 노후 슬레이트 처리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환경부가 지침을 통해 슬레이트 처리지원사업 대상을 주택을 우선으로 국비를 지원하고 있어 지난 1960~1970년대 지어진 폐축사나 공장 등은 지원대상에서 배제돼 사각지대가 되고 있다. 시는 일반주택의 슬레이트 처리가 완료된 후 환경부의 새로운 지침이 내려올 때만 사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시의회는 지난 2014년부터 행정사무감사 때마다 지역 내 산재한 슬레이트로 된 폐축사에 대한 실태 파악과 적정처리를 요구해 왔으나 시는 매년 대책을 강구하겠다는 말만 되풀이할 뿐 현재까지 사유재산이라는 이유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실제 삼숭동 아파트 밀집지역 인근에 위치한 폐축사는 석면이 포함된 슬레이트가 부식돼 무너져 내리면서 석면가루가 날려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나 시는 개인 소유라는 이유로 처리를 외면하고 있다.
백석읍 동화아파트 일대도 곳곳에 폐축사가 산재하는 등 지역 곳곳에 지난 1960~1970년대 지어진 폐축사들이 산재해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나 시는 실태 파악조차 제대로 못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앞으로 안전관리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해 주민의 건강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