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유도 ‘평화·생태·관광개발’ 부푼꿈

섬 사유지 1만3천여㎡ 매입안
13일 시의회 본회의 통과 주목
다양한 남북교류 거점장소 활용

김포 한강하구 북한과의 접경지역인 비무장지대에 있는 섬인 유도. 이 섬이 남북 교류 거점장소와 평화ㆍ생태ㆍ관광 활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김포시 제공
김포 한강하구 북한과의 접경지역인 비무장지대에 있는 섬인 유도. 이 섬이 남북 교류 거점장소와 평화ㆍ생태ㆍ관광 활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김포시 제공
김포 한강하구 북한과의 접경지역인 비무장지대에 있는 섬인 유도가 남북교류 거점장소와 평화ㆍ생태ㆍ관광 활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월곶면 보구곶리에 위치한 유도는 지난 1997년 북한 수해로 떠내려온 소를 구출해 ‘평화의 소’로 잘 알려진 섬이다. 지리적으로는 한강하구 중립지역에 위치해 출입 시 남북 간 합의 및 군 승인을 얻어야 한다.

 

6일 시에 따르면 지난 7월 시의회 임시회에서 부결된 유도 내 사유지 1만3천여㎡를 3억9천200여만 원에 매입하는 공유재산관리계획안이 최근 시의회 상임위원회에서 가결됐다.

 

시는 이에 따라 오는 13일 시의회 본회의에서 상임위의 가결안이 통과되면 유도 내 토지를 활용, 생태조사를 통한 생태환경 보전사업 및 안보관광과 함께 남북교류와 소통의 평화공간 조성 등 다양한 남북교류의 평화와 생태ㆍ관광사업을 펼칠 수 있게 된다.

 

생태적으로는 중립지역의 생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본으로 국제적 멸종 위기종인 저어새를 비롯한 흰꼬리수리, 검독수리 등 멸종위기 야생 생물과 함께 아직 알려지지 않은 미기록종도 상당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시는 이 섬을 평화누리길과 애기봉, 평화생태공원과 연계해 ‘평화의 섬’으로 지정하고 캐릭터, 팬시, 애니메이션 제작 등의 스토리텔링 사업을 추진, 한반도 평화를 상징하는 한강하구 중립지역의 활용을 모색할 예정이다. 친환경적인 지속 가능한 공간으로 무인도서 탐방, 생태교육, 갯벌탐사 등 생태관광 자원화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시는 유도 개발을 통한 남북 교류협력을 모색하는 방안으로 ‘남북 공동개발’을 제안할 구상도 갖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의회가 긍정적인 평가를 해줘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평화의 소’로도 잘 알려진 유도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 생태적 가치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그 가치를 알리고 활용 여건을 공론화, 유도 내 해상평화공원을 조성 등 남북한교류와 협력의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