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교육은 읍면 복지허브화 전면 시행에 따라 행정의 최일선에서 지역사회 복지업무를 지원하는 복지이장들이 복지사각 지대 주민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지역사회 복지기반 확충을 위해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김헌 책임연구원이 강사로 초빙 ‘나를 위한 민관협력 이야기’란 주제로 △지역복지와 민관협력 △정책, 조직, 협력 등 사례로 배우는 민관협력 구축을 위한 이장의 복지임무 기본소양 내용을 교육했다.
이와 함께 복지이장의 역할과 임무, 복지이장의 필요성, 동절기 복지사각지대 집중 발굴 대상 및 지원 내용 등에 대한 질의·응답 및 자유발언 등을 통해 각 마을 이장들의 사회안전망 구축과 복지사각지대 발굴 및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한편 군은 지난해 전국의 읍면동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행정복지센터로 확대하고 있는 정부의 복지시책에 부응하기 위해 지난해 2개면에 이어 올해 7월에는 나머지 4개 읍면까지 맞춤형복지팀을 설치해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기반을 마련했다.
김 군수는 “항상 최일선에서 주민 화합과 지역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이장들의 노고에 감사를 드린다”며 “마을 주민의 대표인 이장의 역할과 임무가 점점 늘고 있는 가운데 민관협력 복지네트워크 구축으로 복지사각지대 제로에 도전하자”고 말했다.
가평=고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