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중생활권 재편·균형 발전
통일경제특구 실현 주력 방침
13년 후 파주시 인구 규모는 69만여 명으로 늘어나고, 전체 도시공간구조도 ‘운정ㆍ교하중생활권’ 등 3개 중생활권으로 재편돼 균형 발전이 추진된다.
파주시는 통일을 준비하는 파주 등 6대 계획 18개 전략 50개 실천계획이 담긴 ‘2030 파주도시기본계획’이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로부터 최종 승인받았다고 27일 밝혔다.
2030년에는 운정신도시 1ㆍ2ㆍ3택지개발지구와 당동ㆍ선유ㆍ법원 2 일반산업단지조성, 재개발을 비롯해 파주소재 군인과 외국인구를 포함한 계획인구가 69만 2천 명으로 최종 설정됐다. 이는 2020년 도시기본계획인구 목표설정보다 2만3천895명이 증가한 규모다.
2030 인구지표 설정에 눈길이 가는 것은 운정신도시 등 기존 택지개발 인구배분 외에 시가 처음 제안해 현재 국회 관련 상임위원회에 계류 중인 남북교류배후신도시(통일경제특구)조성을 위해 6만 명이 배정됐다는 점이다. 이와 함께 운정신도시 용도변경으로 1만9천142명과 파주희망프로젝트 개발사업을 위해서도 1천 872명이 신규로 추가 반영됐다.
파주 전체 도시공간구조는 장래 도시개발방향에 따른 토지 이용 및 교통 환경 등의 변화를 고려한 실생활권 중심으로 인구가 배분돼 개발된다.
우선, 기존 교하중생활권(교하읍 23만6천 명), 금촌중생활권(조리읍, 광탄면, 월롱면, 금촌1ㆍ2동, 탄현면 23만9천 명), 문산중생활권(문산읍, 파주읍,파평면, 적성면, 법원읍, 군내면, 장단면, 진동면, 진서면 19만3천 명)이 앞으로 운정ㆍ교하중생활권 411㎢(교하동, 운정동, 탄현면 33만3천 명), 금촌ㆍ조리중생활권 144㎢ (금촌동, 조리읍, 광탄면, 월롱면 18만6천 명), 문산중생활권 117㎢ (문산읍, 파평면, 적성면, 법원읍, 파주읍, 군내면, 장단면, 진동면, 진서면 17만3천 명)으로 생활권이 구분된다.
특히 전략적으로 경기북부지역 타 지자체보다 통일브랜드, 통일 이슈를 선점하고자 DMZ(비무장지대) 세계평화도시조성, 남북교류협력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통일경제특구 실현 등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2030년 인구 계획 70만 명에 맞게 도시 틀을 실생활권 중심으로 계획했다”며 “개발이 한창 진행되는 운정ㆍ교하중생활권에 인구배분을 많이 해 이로 인해 파주 전체 선순환 개발이 되도록 유도했다”고 설명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