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대극, 동강할미꽃, 산괴불주머니 등 야생화 3종의 개화시기 조절 기술 연구에 성공, 사계절 원하는 시기에 우리 꽃을 볼 수 있게 됐다.
22일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에 따르면 최근 정원 산업이 성장하고 정원 조성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지만, 우리 야생화는 대체로 개화기간이 짧고 시기도 한정적이어서 활용 측면에서 아쉬움이 많아 실제 활용되는 정원 식물 대부분은 외국에서 수입된 품종들이다. 외국 품종들의 꽃 모양이 아름답고 색이 화려할 뿐만 아니라, 개화기간이 길고 개체를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는 이에 ‘야생화 연중재배 및 개화조절 기술 개발 연구’를 지난해부터 시작, 1년 만에 야생화 3종에 대해 개화시기 조절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 연구를 통해 개화를 유도하고자 적용된 기술은 ‘저온처리를 통한 휴면타파’, ‘일장 조절을 통한 개화 촉진’ 등이다. 국립수목원은 오는 2021년까지 고품질의 재배 기술들을 표준화한 후 원예 산업 현장에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에 개화시기 조절에 성공한 암대극, 동강할미꽃, 산괴불주머니 등은 자연 상태에서 4월께 짧게는 2주일, 길어야 2개월 정도 꽃이 피만 개화시기 조절 기술 적용으로 품종 개량 없이 야생화 본 모습 그대로 언제든지 꽃을 볼 수 있다.
이번 성과를 알리고자 오는 30일까지 대전 정부청사에서 ‘언제 어디서나 우리 곁에 우리 꽃이…’를 제목으로 ‘계절을 앞서 만나는 우리 야생화 전시회’를 연다. 봄이 돼야 볼 수 있는 복수초, 앵초, 할미꽃, 백작약, 금낭화, 돌단풍 등도 선보일 예정이다.
지금까지 정원 산업 분야에서 우리 야생화가 활용되는 자생식물은 10% 미만으로 이는 금계국, 가우라, 꽃잔디 등과 같은 외국 품종들이 10개 심겨질 때 우리 야생화는 한 종 미만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의미한 것으로 이번 개화 시기 기술 적용은 우리 정원 산업에 상당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유미 원장은 “개화시기 조절 기술을 적용한 우리 야생화를 이번 전시회에 선보이면서 야생화 산업화 기반 구축 연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