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화상(Self-portrait)은 한 인간의 삶을 얼굴에 고스란히 조각한 그림으로, 인류 최초의 자화상은 자신의 얼굴을 작품에 새기는 자각상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기원전 6세기 조각가 테오도루스는 네 마리의 말이 이끄는 이륜 전차를 모는 자신의 얼굴을 조각했다고 한다. 자화상은 르네상스 시대부터 시작된다.
14세기에는 비밀스럽게, 15세기에는 당당하게 자신의 얼굴을 그려 넣기 시작했고, 17세기 이후 개인주의가 자본주의와 맞물리면서 조금 더 당당한 자화상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자화상을 대표하는 렘브란트는 약 100점의 자화상을 그렸고, ‘고뇌의 화가’ 고흐는 고뇌로 얼룩진 약 40여 편의 자화상을 남겼다. 개인주의가 보편화되면서 혼돈 그 자체인 인간의 내면을 보기 시작했고, 화가들 모두가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자 노력해 왔다.
최근 트렌드가 되고 있는 스마트폰 셀카(selfie)는 2013년 옥스퍼드사전에 공식 등록되었고, ‘자기자신을 찍은 사진으로, 전형적으로는 스마트폰이나 웹캠으로 찍고 소셜미디어 사이트에 업로드한다’고 정의된다.
‘그림을 그리는 자화상’과 ‘사진을 찍는 셀카’는 분명히 다른 형태로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이나, 작가와 모델이 일치한다는 점에서는 같다. 화가들이 그려내는 절묘한 자화상처럼 인공지능형 셀카(AI Selfie) 또한 화가의 독자적 세계와 외부 세계와의 융합(convergence)을 구현하는 날이 올 수 있기를 희망한다.
우리나라 국민 모두가 자신을 사랑하는 쉬운 방법부터 실천해보자. 영화
강정진 동서울대학교 교수·㈔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