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오는 2022년까지 미세먼지 저감 사업 펼친다

성남시는 오는 2022년까지 900억 원을 들여 미세먼지 저감사업을 펼친다.

 

22일 시에 따르면 시는 5년간 차량 매연 줄이기,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오염원 저감, 민감계층보호, 미세먼지 예·경보 시민 홍보 등 4개 분야 25개 세부전략사업을 시행한다.

 

시는 지난해 평균 27㎍/㎥(마이크로그램 퍼 세제곱미터)를 기록한 성남지역 초미세먼지 농도를 19㎍/㎥ 이하로 줄일 계획이다.

 

특히 대기오염의 주원인으로 알려진 차량의 매연을 줄이고자 2005년 이전에 제작된 2.5t 이상 노후 경유차 9천여 대에 조기 폐차비(대당 165만~770만 원)를 전액 지원한다. 매연 저감장치 설치비용(대당 172만 2천~1천30만 8천 원)도 지원한다.

 

친환경 전기차를 구매하는 이들에게는 최대 1천700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해 올해 말까지 30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운수회사에 대당 1천200만 원을 지원해 천연가스 버스 77대도 보급할 예정이다.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서 발생하는 오염원 저감사업도 추진한다. 기업이나 사업장 등에서 일반 보일러를 저녹스로 변경하면 기기 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원하며, 친환경 보일러로 바꾸는 가정집에도 16만 원을 지원한다.

 

시는 또 올해 4억 8천만 원을 들여 어린이집 등 모든 영유아 보호시설에 공기청정기 설치와 임대료를 지원하며, 노인 등 민감계층 시설에 미세먼지 마스크를 보급한다.

 

미세먼지 농도를 실시간으로 알려 시민들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복정동과 여수동, 모란사거리, 분당구청 등 성남시내 8곳에 설치된 미세먼지(PM10, PM2.5) 측정소에서 농도를 상시 측정해 시내 11곳 전광판, 672개 버스 도착 정보안내 단말기(BIS) 등을 통해 상황을 알린다.

 

시 관계자는 “초미세먼지는 미세먼지보다 입자가 작아 폐 세포까지 직접 침투하기 때문에 호흡기 건강에 치명적”이라며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전략회의를 개최하는 등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성남=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