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기본계획 29일고시

북수원·호계·능동역 포함… 용인 흥덕역은 ‘시의회 승인’ 조건
국토부, 사업비 2조7천190억 투입해 2026년까지 완공 예정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사업이 본격 궤도에 오른다.

 

국토교통부는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건설 기본계획 수립 알림’이라는 공문을 노선이 지나가는 수원ㆍ안양ㆍ용인ㆍ화성시 등 4개 지자체에 발송했다고 27일 밝혔다. 공문은 복선전철 사업에 대한 기본 현황과 4개 시가 추가로 요구한 흥덕역(용인), 북수원역(수원), 호계역(안양), 능동역(화성)이 사업에 포함될 것이라는 내용을 담았다.

 

국토부가 해당 지자체에 공문을 보내면서 행정안전부에 고시를 요청함에 따라 오는 29일 관보에 인덕원∼ 동탄 복선전철 건립사업 기본계획이 고시될 예정이다. 애초 인덕원∼수원 복선전철 사업이 정식 사업명이었으나 올해 2월 국토부가 노선 마지막 역명을 반영해 인덕원∼동탄 복선전철로 사업명을 변경했다.

 

인덕원∼동탄 복선전철은 지하철 4호선 인덕원역과 수원월드컵경기장∼광교∼영통∼동탄 등 13개 역을 연결하는 총 길이 39.4㎞의 철도사업이다. 2015년 착공해 2023년 완공할 예정이었으나, 용인 흥덕역, 수원 북수원역, 안양 호계역, 화성 능동역을 추가해 달라고 해당 지역 주민과 정치인들이 요구하면서 2015년 기본계획에 4개 역이 추가됐다. 그러면서 사업비가 당초보다 3천900억 원이 늘었다. 

지자체별로 용인 1천580억 원, 수원 686억 원, 안양 860억 원, 화성 790억 원을 추가 부담해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용인시는 시의회 승인 없이 집행부 직권으로 사업을 강행해 앞으로 흥덕역 설치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기본계획에는 용인시가 요구한 흥덕역 설치가 포함됐지만, 이후 시의회의 승인을 받지 못하면 흥덕역을 제외하고 사업을 진행하겠다는 조건이 달렸기 때문이다.

용인시는 조만간 시의회에 흥덕역 사업비 부담 동의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동의안이 제출되면 용인시의회는 내달 중 임시회를 열어 안건심의 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여전히 흥덕역 설치에 대한 지역 간, 시의원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다음 임시회에서 안건처리가 될지는 불투명하다.

 

국토부는 4개 지자체 부담액을 포함, 총 사업비 2조 7천190억 원을 들여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건설사업을 오는 2026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 2월 기본계획을 고시하려 했으나 협약서를 제출한 수원ㆍ화성ㆍ안양시와 달리 용인시가 시의회 동의를 구하지 못하자 지난 14일까지 협약서 제출 시한을 연기한 바 있다.

 

권혁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