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증평군 모녀 사망 사건 계기로…성남시 관내 위기가구 조사 나선다

성남시가 충북 증평군 모녀 사망 사건을 계기로 관내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위기가구 조사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오는 6월15일까지 공동주택에 사는 17만 2천23가구(312곳)를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다. 이 가운데 관리비 연체비율이 높은 LH 임대아파트 2만 5천256가구는 집중 조사 대상이다.

 

시는 조사를 위해 시·구·동 담당 공무원과 성남시 무한돌봄센터,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복지통장, 관리사무소 직원, 복지관 종사장 등 1천967명의 민·관 협력 조사단을 꾸렸다.

 

각 단지의 관리사무소를 통해 관리비나 임대료를 3개월 이상 체납한 가구, 전기·수도·가스 사용량이 거의 없거나 검침 결과가 ‘0’인 가구, 우편물이 장기간 방치된 가구 등을 파악한 뒤 해당 가구를 찾아가 생활 상태를 살핀다. 주 소득자의 사망이나 실직, 중병이나 부상 등으로 살기가 힘든 위기가구로 확인되면 민·관 지원책이 동원된다.

 

당장 지원이 필요한 가구는 최장 6개월간 생계비(4명 기준. 월 117만 원), 의료비(1회. 300만 원), 최대 500만 원의 월세 보증금(3~4명 기준. 월세 64만 원) 등 공적 지원을 받도록 도와준다. 필요 땐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차상위계층 지원 대상자, 통합사례관리 대상 등에 포함한다.

 

김선배 성남시 사회복지과장은 “위기 상황에 내몰려 방치되는 이들이 없도록 조사 역량을 집중하겠다”면서 “이웃 간에도 관심을 기울여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있으면 성남시 무한돌봄센터(☎031-729-2491~2)나 동 주민센터로 알려달라”고 말했다.

성남=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