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의회가 지난 2월 국토교통부가 고시한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 부천시 통과구간(동부천 IC)에 대한 건설계획을 전면 재검토해 줄 것으로 촉구했다.
시의회는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 실시계획 승인 고시를 철회하고, 동부천 IC에 대한 사업계획을 전면 재검토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고 30일 밝혔다.
광명∼부천∼서울 민자고속도로는 광명시에서 부천을 거쳐 서울시 올림픽대로에 이르는 길이 20.2㎞, 사업비 1조6천여억원이 투입되는 민자사업으로 부천시 통과구간은 6.36㎞이다. 이 민자고속도로는 터널이나 지상으로 건설될 예정이지만, 부천 구간(6.36㎞) 가운데 2.54㎞와 서울 일부 구간이 고가로 계획돼 있다.
이에 그동안 시와 주민들은 부천구간 중 1.6㎞ 구간에 대한 지하화와 동부천IC 폐지를 줄기차게 요구해 왔다. 특히 수차례에 걸친 성명서 발표와 국회의원 간담회 및 각종 토론회 등을 통해 사업계획 변경을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해 왔다.
이런데는 사업이 당초 안대로 진행될 경우 대규모 녹지 훼손은 물론 도시 자연공원(작동산) 파괴, 식수원인 정수장 인접 통과 등 부천시와 주민들이 감내해야할 피해가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토교통부는 지난 2월 부천시 전체구간 중 시와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반대해 왔던 동부천IC 설치 예정구간(작동, 춘의동 일원) 약 1.6㎞를 제외한 나머지 통과 구간 4.7km에 대해서만 지하 터널계획을 승인 고시하면서 주민들의 반발을 증폭시켰다.
부천시 또한 자치단체의 협의사항이 반영되지 않은 일방적인 승인 고시라며 유감을 나타내고 있는 상태다. 이와 함께 동부천IC반대투쟁위원회도 곧바로 ‘광명~서울 고속도로 민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즉각 철회’를 주장하며, 차량시위에 나서는 등 반발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실정이다.
부천시의회는 결의문을 통해 “국토교통부는 일방적인 사업진행을 중단해야 하고 부천시 통과구간 전체에 대해 지하화로 공사를 전면 변경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천=오세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