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새로운 희망 가족농업

▲
5월은 어린이날부터 어버이날, 스승의 날 등 우리 주변에 가장 가까운 사람들과 고마운 마음을 전달하는 기간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 사회는 1, 2인 가구가 전체가구의 55%(2017년 기준)로 가족이라는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야 하는 시기다. 가족의 의미가 핵가족에서 탈가족화, 가족해체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혼밥혼술은 사회의 일반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2000년 이후 가족 중심의 노동력 충당에서 농촌은 고령화와 가구당 인구의 감소로, 기계화와 외부로부터의 인력 수급이 필요한 구조로 본격적인 산업화의 틀로 바뀌게 되었다. 그로 인해 가족 중심의 농업은 점점 사라지고, 산업화된 대량의 생산체계가 중심이 된 정책이 추진됐다. 이로 인해 가족경영 중심의 중ㆍ소 농가는 점점 더 생존하기가 힘들어졌으며, 농업의 미래의 불투명해짐과 함께 농업의 황폐화에 이르고 있다.

 

이로써 생기는 문제로, 대량소비가 전제되는 작목에 집중하고 생산 작물의 종류는 단순화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농법이 수확량을 증대하기 위한 품종개량(GMO), 화학 농법(농약비료)을 기반으로 하는 대량의 자원투여 농법으로 발전되어, 토종의 소멸, 땅의 황폐화, 수자원 고갈 등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확대시킨다. 이런 대규모의 기업농이 확대되며 지속가능한 농업에서 거리가 멀어지게 되었다.

 

유엔은 기후변화 및 식량부족, 빈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으로 소규모의 가족농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2014년을 ‘세계 가족 농업의 해’로 지정했다. 기존의 농업은 대량의 자원을 투여하는 개간 개척, 다수확을 위한 과다한 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소규모 가족농업은 기후에 적합한 작목을 선택하고, 주변 환경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환경파괴를 피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농업의 전형으로 보았다. 장기적으로 지구온난화와 다양한 식량의 부족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정책이라 하였다.

▲
우리나라도 친환경 농법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의 하나로 보고 있지만 그 추진은 쉽지 않다. 대부분의 소비자는 친환경농업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더 많은 비용지불에 있어서는 아직도 인색한 편이다. 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위해 더 많은 노동력과 새로운 기술의 발전이 필요하므로, 소규모 농가에 적합한 다양한 농기구와 더욱 친환경에 적합한 종자의 발굴, 비료와 병충해를 극복하는 다양한 농법의 개발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소규모 농업경영인을 위한 로컬푸드 매장의 확보, 도시와 농촌의 자매결연 등 도ㆍ농간의 교류를 확대하는 지역단위의 직거래 유통채널을 더욱 활성화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경기도는 올해부터 소비자는 농산물 생산에 참여하고 수확하여 가져감으로써 안전하고 투명한 생산물을 확보할 수 있고, 생산자는 맞춤형 생산을 통해 판로 확보에 대한 고민도 해결할 수 있는 ‘공유농업’이라는 새로운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도시민과 농업인이 또 하나의 새로운 하나의 가족으로 탄생하리라 기대해 본다.

 

서재형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