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13번째 특검팀… 대선 전 댓글조작·김경수 개입 여부가 쟁점
현재 경찰이 수사하고 있는 ‘포털 댓글 여론조작 사건’의 주요쟁점은 ‘드루킹’ K씨(49ㆍ구속기소) 일당이 대선 전부터 매크로를 이용해 댓글 순위를 조작했느냐는 점과 이 과정에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의원이 관여했느냐는 점이다.
지금까지 경찰은 1월17~18일자 기사 677건의 댓글 2만여 개에 매크로(동일작업 반복 프로그램) 조작이 이뤄졌음을 확인했고, 드루킹 일당이 대선 7개월 전인 2016년 10월부터 올 3월까지 기사 9만 건에 댓글 작업을 한 정황도 포착한 상태다. 이에 해당 기사가 송고된 포털 3사(네이버, 다음, 네이트)에 압수수색영장을 집행, 자료 보존조치를 마쳤다.
드루킹이 구치소에 수감된 후 옥중편지를 통해 김경수 전 의원이 연루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해선 시간을 두고 실체를 파악해나갈 방침이다.
드루킹은 김 전 의원이 2016년 10월 자신의 사무실을 찾아와 자체적으로 구축한 매크로 구현 서버 ‘킹크랩’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댓글작업 내역을 매일 김 전 의원 메신저로 전달, 김 전 의원이 이를 확인했다고 전했다.
또 대선 후 자신의 인터넷 카페 ‘경제적 공진화 모임’(경공모) 회원을 일본 오사카 총영사로 인사 추천했다가 무산된 뒤 김 전 의원이 직접 전화를 걸어 센다이 총영사 추천을 제안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김 전 의원이 드루킹 사무실에서 킹크랩 시연을 본 뒤 경공모에 100만 원을 전달했다고도 말했다. 이에 대해 김 전 의원 측은 부인하는 상황이다.
경찰은 특검팀이 수사를 개시하기 전까지 드루킹 일당의 대선 전 댓글조작 의혹과 관련 일정 부분 전모를 밝힐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드루킹 일당의 재판이 진행 중인 만큼 혐의가 추가로 드러나면 공소사실에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특검은 수사팀이 구성되고 사무실을 마련하는 대로 검찰ㆍ경찰에서 기록을 넘겨받아 ‘대선 전후 포털 여론조작 의혹’, ‘김 전 의원의 사건 연루 의혹’ 등 두 갈래로 나뉘어 진행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