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문화 마케팅

▲
이제는 문화가 상품의 가치를 높이고 그수요를 폭팔적으로 증가시키는 시대가 됐다.

올 여름. 남북정상회담의 영향으로 평양냉면이 최고의 인기를 끌고있다. 평상시 냉면 한 그릇 가격이 엄청나게 오르는데도 남들 좋아하니 나도 뒤질새라 비싼 가격에도 냉면집을 찿는다.

 

우리나라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 곡이 빌보드 차트 1위에 오르자 음반이 출시 되기 전 세계 각국의 젊은이들이 그 음반을 구하려고 예약 사이트가 다운되기도 할만큼 선훙적 인기를 끌고 있다.

 

무엇이 그들을 열광 시키는가. 일본의 동경 신주쿠 신 오꾸보 지역에서는 치즈 닭갈비에 이어 치즈 핫도그가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 일본에서 욘사마의 한류 바람이 일어난 이후 참 오랜만에 음식을 통한 신 한류의 바람이 불고 있다.

 

기업들은 프로축구, 야구, 농구, 씨름, 테니스 등 각종 스포츠 선수단을 꾸린다. 이렇게 꾸려진 스포츠 선수단은 기업의 이미지를 높여 자사 제품의 마케팅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는 기업이 상품을 만드는 것보다 이미지 홍보를 통한 문화 마케팅을 활용하는 전략이다.

 

영화, 드라마, 연극, 뮤지컬, 미술, 디자인 등 온갖 장르의 예술 활동은 이제 그 순수성을 지켜가며 기업의 지원(스폰) 덕분에 전통과 명맥을 이어가는 현실이다.

 

▲
우리 경기도에는 수많은 대학이 있고 문화 예술 관련 학생들을 배출하고 있지만 그들이 창작활동과 전공을 이어가기란 힘에 겨운 현실이다. 이제 지방자치단체들은 문화예술 공연장의 확충과 문화예술을 통한 지역의 전통과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과감한 투자를 통해 새로운 활로를 찿아야 될 것이다. 새로운 문화 창출을 통한 새로운 가치의 창조는 유행과 소비를 창출 해낼 수 있다. 이미 우리는 K팝, K뷰티, K후드 K드라마, K무비를 통해 한류를 창출 한 바 있다.

 

문화를 통한 국가 브랜드의 이미지 향상과 가치창출은 외국 관광객의 한국 방문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해외에서 한국상품의 매출증대에 크게 기여 할 것이다.

 

종합예술인 영화 한편의 대 히트를 통한 흥행의 성공은 그 투자에 비해 수익 창출이 너무 크고 방대하기에 고부가가치의 문화 마케팅은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고 문화 마케팅을 잘 활용하면 해외에 거주하는 해외 동포들도 어깨가 자연히 올라간다고 한다. 국격이 상승하면 우리 중소기업 해외시장 개척에도 큰 도움이 된다. 문화 마켓팅의 성공은 국익에 큰 도움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신현태 前 국회의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