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촉매 효소 중재

▲
화학적인 매개 역할을 하는 수은, 황산 등 화학물질을 촉매(觸媒)라 하고 음식이나 와인 등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박테리아, 유산균 등을 효소(酵素)라 한다면 조직사회에서 소통과 화합의 역할을 하는 이가 있으며 이 사람을 ‘약방의 감초’라고 부른다.

 

화학이나 물리학, 인문학에 존재하는 이런 기능을 통칭하여 중재자(仲裁者)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자동차, 선박, 비행기, 각종 전자기기에 장착된 엔진을 원활하게 돌려주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는 베어링과 윤활유가 있다. 베어링은 동력이 전달되는 쇠붙이 부품의 사이사이에 쇠구슬을 넣어 원활한 구동이 가능하게 하는 부품이다. 그 중간이나 엔진의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원활히 움직이도록 기능하는 오일을 통칭 윤활유라 한다.

 

그동안 아파트 거실의 매끄러운 바닥에 비닐 재질의 요가매트를 깔고 그 위에 방석을 올려 운동을 했는데 바닥과 매트가 미끄러워서 움직일 때마다 1㎝ 정도 이동을 하므로 10번 정도 운동을 하면 당초에 바라보던 방향에서 50도 정도 다른 방향을 보게 되었다. 요가매트 바닥에 테이프를 붙이기도 하고 고무줄을 붙여보는 등 미끄럼 방지를 위한 노력을 다했지만 시원한 해결책이 나오지 않았다.

 

▲
어느 날 청색 비닐 재질의 천을 얻어 거실 바닥과 요가매트 사이에 깔았더니 자동차 급브레이크 잡히듯이 미끄럼 현상이 일거에 해소되었다. 참으로 신기하고 재미있는 일이다. 우리의 주변에는 참으로 다양한 재질이 있지만 어느 것은 미끄러지고 다른 것은 밀착되어 미끄럼을 막아준다.

 

그래서 우리사회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삶 속에서 어떤 이는 껄끄럽고 어느 사람은 착 달라붙는 다정함이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이른바 삼각관계(三角關係)라 할 것이다.

 

상사들은 좋아하는데 동료들이 불편해 하는 이가 있고 후배들이 좋아하는데 상사들이 불편해 하는 간부도 있으니 말이다. 누구에게나 수혈할 수 있는 참으로 정말 착한 피가 있고 다른 이의 혈액을 받기만 하는 이기적인 혈액형이 있는 것처럼.

 

이강석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