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경제] BMW, 명차의 명성을 되찾으려면…

▲
세계적 자동차 메이커, 독일 ‘BMW’가 한국에서 위기다. TV 등을 통해 도로 위 시커멓게 불에 탄 BMW를 자주 보게 된다. 이를 보는 필자는 섬뜩한 느낌을 받게 된다. 화재가 자칫 터널 등에서 발생하면 앞뒤 옆 차에 옮겨 붙어,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에 그렇다.

 

BMW 측은 달리던 자동차에서 불이 나는 원인에 대해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결함이 화재 원인이고, 520d 등 디젤 모델에서 불이 나고 있어 이들을 리콜 대상으로 삼고 있다. 불타는 BMW 사고는 유독 한국에서만 일어나고 있다고 하니, 다소 황당하다. 또 최근에는 BMW의 디젤 모델뿐 아니라 여타 모델 등에서도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전언에 따르면 BMW 화재 사고는 최근에 벌어진 일이 아니어서 2~3년 전에도 있었다고 한다. BMW는 1~2년 전부터 화재를 발생시킨 문제의 부품 교체 사실을 은폐한 의혹도 사고 있다. 이러한 의혹에 대해 소송을 낸 BMW 차주들은 분개하고 있어 한국에서 BMW는 총체적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와 관련한 사건ㆍ사고는 이번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자동차 품질의 세계 최고 수준으로 불린 도요타 자동차는 2009~2010년 미국에서 ‘렉서스’의 급발진 사고로 운전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도요타는 당시에 미국 법정에서 사고의 원인이 운전자 과실에 있다고 주장하다가 미국 소비자들로부터 거센 비난과 뭇매를 맞았다.

 

미 법원은 도요타에 12억 달러라는 벌금을 매겼다고 한다. 그 이후 도요타의 변신이 놀랍다. 당시에 도요타는 1천만대가 넘는 대량 리콜을 단행했고, 아키오 사장부터 생산직 종업원까지 전사적으로 ‘품질 제일주의’ 구호를 다시 외치며 초심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러한 각고의 노력으로 현재 도요타는 판매량 기준 세계 1위의 기업으로 오뚝이처럼 다시 섰다.

 

지난 2015년 또 다른 독일 자동차인 폭스바겐ㆍ아우디도 디젤 자동차에 배출 가스 소프트웨어 조작 사건을 일으켜 물의를 일으켰다. 거짓말을 가장 싫어한다는 미국에서 폭스바겐은 약 48만 대 이상의 리콜과 최대 180억 달러에 달하는 벌금을 물게 됐다고 한다.

미국과 비교하면 한국에서 폭스바겐ㆍ아우디는 한국 정부로부터 몇백 억대의 과징금을 부과받고, 소비자들에게는 쿠폰을 제공하는 선에 마무리되고 있다고 하니 기가 찰 노릇이다. 한ㆍ미 간 벌금과 보상의 극단적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로, 미국은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매출액의 3% 배상 등)’가 있기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에 한국의 국회는 폭스바겐ㆍ아우디 사태 이후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도입 법안이 발의됐지만, 현재 3년째 표류 중이라 한다. 이번 BMW 사태로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본 제도의 도입은 국내외 모든 기업들에 해당하기에 한국의 자동차 메이커를 비롯해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에 경영상 많은 함의를 안겨 줄 것으로 예상한다.

 

BMW 독일 본사 및 한국 지사는 전사적으로 한국에서 발생하는 BMW 화재 사고에 대해 그 원인을 명확하게 분석하고, 소비자들에 대한 철저한 보상과 사후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해야만 한국의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일부 회복할 수 있을 것이고, 과거의 명성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독일 자동차가 세계적으로 ‘명품’ 반열의 ‘명차’라 생각했다.

한국의 소비자들은 BMW의 품질이나 AS 등에서 세계 최고로 여겼고, 이에 따라 BMW가 고가의 자동차임에도 이를 지급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한국의 소비자들은 다소 맹목적으로 BMW를 신뢰했고, 이러한 환상이 본 사태로 깨지게 됐다. BMW가 한국의 고객들을 가볍게 여겨 이번 사태를 대충 마무리 지으려 한다면 과거의 명성과 신뢰는 한순간에 사라질 것이고 한국에서의 사업도 불투명할 것이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불이 나는 BMW는 서두에서 일부 암시했듯이 화약을 싣고 달리는 자동차라 할 수 있어 대형 사고를 일으킬 위험물이기에 BMW는 조속히 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정섭 중소기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