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론] 재난 대응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

이경호.jpg
제19호 태풍 ‘솔릭’이 6년만에 한반도를 관통한다는 기상예보로 전국은 긴장했다. 2010년 큰 피해를 준 태풍 ‘곤파스’와 비슷할 것이란 소식에 지자체마다 큰 피해에 대비했다. 인천도 만반의 준비를 했다. 태풍 ‘솔릭’이 한반도로 북상한다는 소식에 지자체별로 대책회의를 열었다.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대책을 논의했고 강풍 발생에 대비한 시설물 점검, 취약지역 정비, 위험요소 점검 등과 같이 사전 대비 사항을 점검했다. 또한, 지자체 부서 간 태풍 대응 공조체계를 구축하는 등 유기적 조직을 구성해 대비했다.

 

재난관리책임기관인 적십자도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자 재해복구장비 점검, 재해구호물품 확보, 긴급복구에 도움을 줄 봉사조직 협조 등 비상대비체제를 갖췄다. 민관 재해 유관기관뿐만 아니라 교육청도 등·하굣길 학생 안전을 위해 일부 학교에선 휴교령을 내렸다. 24일 오전 3시를 기점으로 인천은 태풍의 영향권에 들었고 민관 재해 유관기관은 상시 모니터링을 하면서 만에 있을지 모를 피해에 신속히 대응하고자 예의주시했다.

 

지난 24일 오후 태풍이 동해로 빠져나가 소멸하면서 태풍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그리고 태풍 ‘솔릭’은 25일 새벽 해상에서 소멸했다. ‘솔릭’이 소멸한 것은 전남 목포 지역에 상륙한 지 약 28시간 만이었다. 다행히 큰 피해 없이 태풍이 지나갔다.

 

민관이 태풍에 대비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면서 재난에 대처하는 의식이 상당히 성장했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다. 고무적이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피해가 적다는 것을 들어 일부에선 과잉대비를 한 것이 아니냐는 말이 나왔다. 안타까운 말이다.

결과적으로 과잉대비가 맞다 할지라도 철저한 대비를 해야 한다. 자연재해는 대형재난의 확장성을 내포하고 있고 그 피해는 생명과 직결되기에 언제나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의 경우는 ‘과잉대비’가 아니라 ‘천만다행’이라고 불러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

 

하지만 재난을 대비했다고 하기에는 여전히 완벽하지 않다. 실시간 태풍위치, 피해 정도, 행동지침 등 재난정보는 여전히 공급자 중심이었고, 지역 협의체인 재난 네트워크 운영은 컨트롤타워가 모호해 유명무실했다. 게다가 일부에선 휴업, 휴교 등을 각 지역 재량에만 맡기다 보니 통일된 기준이 없어 시민들에게 혼란을 줬다.

 

재난 대응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들여다보고 정비해야 할 필요가 여기에 있다. 일본은 1961년 재해대책기본법을 제정해 재난별로 계획을 세워 국민이 자발적으로 협조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 중의 핵심은 정확한 정보공유에 있다고 한다. 이를 통해 모두 합심해 재난을 극복한다고 한다.

수많은 기상학자는 지구온난화 탓에 태풍·홍수·폭염·가뭄과 같은 기상이변이 더욱 빈번해질 거라 경고하고 있다. 머지않은 미래 기후재앙 시대가 도래할 거라 말한다. 우리나라는 여전히 재난대비를 소수인력으로 관 위주 정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하지만, 대형재난은 소수인력으로 대응할 수 없다. 민관 그리고 시민들과 함께 대비해야 한다. 재난 대응 시스템을 시급히 정비해야 한다.

 

이경호 대한적십자사 인천광역시지사 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