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 목본 식물인 제주도 자생 왕벚나무의 전체 유전체가 완전히 해독됐다.
국립수목원이 명지대, 가천대 연구진들과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 최초로 거둔 성과다.
국립수목원은 13일 식물연구팀의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확보 및 희귀·특산식물 보전을 위한 연구와 명지대ㆍ가천대 연구팀의 ‘한반도 특산식물의 종분화 및 기원 연구’의 일환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제주도 자생 왕벚나무의 전체 유전체를 완전히 해독했다고 밝혔다.
왕벚나무 유전체 해독 결과는 유전체 분야의 세계적 저널인 ‘게놈 바이올로지(Genome Biology)’ 9월호에 ‘유전체로부터 확인한 야생 벚나무류의 잡종화를 통한 왕벚나무의 형성’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야생 수목의 유전체를 완전하게 해독한 첫 번째 사례로 식물 유전체 해독과 정보 분석 능력이 세계 최상위 수준임을 보여줬다.
명지대 문정환 교수는 “이번 자생 왕벚나무 유전체 해독을 통해 왕벚나무를 둘러싼 원산지와 기원에 관한 논란을 마무리할 수 있는 해답을 얻은 셈”이라며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의 특산 자생식물인 왕벚나무의 우수한 유전자원을 선발하고 보존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