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도시계획위에 기웃거린 안산시장의 ‘정무 특보’

“후배 공직자들이 그런 모습을 보고 배우지 않을까 염려가 됩니다”

 

최근 안산시장 정무특별보좌관(특보)으로 임용된 인물이 안산시도시계획위원으로 위촉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했으나 위원회측 관계자의 반발로 무산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안산시 공직 내부에서 흘러나온 우려섞인 목소리다.

 

그는 왜 시장에게 정치와 관련한 현안에 대해 조언을 하는 직책에 임명된 뒤 많은 사업에 관연 할 수 있는 여지가 다분한 위원회에 들어가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았을까?

 

지난 8월24일 안산시 도시주택국장을 마지막으로 공직에서 물러난 그는 같은달 27일 특보에 임용됐다.

 

시장의 지근 거리에서 정치적인 현안 문제에 대한 조언을 해야 할 특보가 민간영역 분야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는 것에 대해 공직사회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은게 사실이다.

 

현재 안산도시계획위는 20~25명까지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3분의2는 관련분야 전문가를 임명하도록 하고 있고 나머지 3분의1은 시의원 또는 도시계획과 관련한 공무원을 선임하도록 하고 있다.

 

시에서는 도시주택국장 및 상하수도사업소장을 위촉, 관련 분야의 의견을 반영하도록 하고 있으며 시에서 추진하는 사업에 대해 민간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이를 시가 추진하는 사업에 반영하기 위해 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도시계획위에 선정될 수 있는 자격이 제한돼 있음에도 그는 공직을 떠나기 전부터 해당 위원회에 가입하려 노력했던 정황이 나타나고 있어 위원회 가입에 특별한 목적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떨치 수가 없다.

 

특히 대부도의 도로 예정부지를 훼손하고 건축물을 신축한 건에 대해 특보가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알려지면서 그가 위원회에 가입하려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공직자에 대한 인사 발령을 부탁했다는 후문까지 들려 그의 이같은 행보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시장의 정치적인 눈과 귀가 돼야할 특보가 사적인 관심에 눈을 돌리고 그것에 관심을 둔다면 70만 안산시를 이끌어갈 시장이 방향을 제대로 잡을 수 있을지, 그리고 그로인해 시장의 어깨의 무게가 그만큼 무거울 수밖에 없음을 왜 간과하고 있는 것일까?

 

“관련 분야의 학위를 갖고 있어 시정에 도움을 주고 싶었다”는 그의 주장과 달리, 임용된지 한달도 채 안된 그의 행보가 혹시 잿밥에 더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공직자들의 우려에 공감이 간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