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사회지도층의 구심점 역할을 한 ‘기우회’ 해체 위기(본보 9월 4일자 1면)가 현실로 이어질 전망이다. 이재명 도지사가 기우회 불참 의지를 공식 표명했기 때문이다. 이 지사의 불참으로 경기도의 기우회 탈퇴 절차가 진행되는 만큼 기우회 존립 자체가 위태로울 것으로 보인다.
이 지사는 4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지금까지 안 나갔던 기우회, 앞으로도 참석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번 발언은 이 지사가 7ㆍ8ㆍ9월 기우회에 잇따라 불참한데 따른 것이다. 그는 지난달 3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기우회 탈퇴 관련) 도민들의 의견은 어떨지 궁금하다”면서 도민 의견을 모으기도 했다.
기우회는 경기지역 주요 공공ㆍ민간기관장, 경제계, 사회단체 등 190여 명이 참여하는 사적 모임이다. 1966년 박정희 정권 당시 중앙정보부(현 국가정보원)가 기관 간 업무 조율ㆍ정보 공유를 위해 만든 지역 기관장 모임에서 시작됐다. 한 달에 한 번 소집되는 기우회는 단순 사모임을 넘어 사회지도층에 도정 사항을 공유하는 자리로 활용됐다.
이 지사 측근은 “이 지사는 물론 이화영 평화부지사도 기우회에 불참할 것”이라며 “기우회가 도만의 단체가 아니라 별도의 탈퇴 절차가 필요, 차근차근 탈퇴 작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사회지도층뿐만이 아닌 다양한 계층의 의견 수렴 필요성, 기우회 창립시 정치적 문제 등을 고려해 이번 불참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기자간담회를 진행하며 이 지사는 체납관리단, 수술실 CCTV 등의 정책은 도에서 전국으로 뻗어나갈 수 있는 가치 있는 정책이라며 큰 성취감을 보이기도 했다. 이어 최근 발생한 시ㆍ군간 소통 문제에 대해 오해에서 불거진 문제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정확한 소통을 위해 ‘정치적 언어’를 더 자제하겠다고 표명했다.
한편 도는 이 지사가 주창한 부동산 묘책인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을 본격 논의하고자 토론회를 오는 8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연다.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는 부동산으로 인한 불로소득을 환수해 국민에게 돌려주는 것을 골자로 한 제도다. 토론회는 정성호 국회의원(양주) 등 국회의원 8명이 공동주최하고 경기연구원이 주관한다.
여승구·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