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흡수성이 떨어지는 ‘엉터리’ 인조잔디 운동장이 학생 안전을 위협(본보 10월12일자 1면)하자 학부모들의 원성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앞서 본보는 2017~2018년 인조잔디 운동장을 조성한 경기도 내 11개 초ㆍ중ㆍ고교 중 7곳을 무작위로 선정, 지난 10일 KCL(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과 함께 ‘인조잔디 시스템 충격흡수성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이때 7곳 모두 KS(한국산업표준)가 규정한 충격흡수성 최저 기준치(50%)를 충족하지 못했다.
현재 도내 인조잔디 운동장을 갖춘 학교는 총 311곳으로 조성시기가 가장 오래된 곳은 2007년도(15곳)다. 최근 2년 사이 조성된 운동장조차 충격흡수성이 30%대로 조사된 상황에서 학부모들과 시민단체는 인조잔디 운동장에 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18일 실태조사 대상에 포함됐던 한 학교의 학부모위원장은 “인조잔디 운동장이 설치된 지 채 1년도 지나지 않아 충격흡수성에 대한 의심을 전혀 안 했다”며 “업체가 제대로 시공했는지에 대한 대대적인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른 학교의 운영위원장 역시 “충전재(탄성칩)를 추가하던지, 아예 걷어내고 새로운 운동장을 조성하던지 등 방안을 찾기 위해 학교가 우선적인 조치에 나서야 하고, 이 과정에서 교육청의 조사 및 신설 규정 등이 요구된다”며 “업체가 충전재를 빼돌리는 식의 ‘뒷거래’를 해온 정황이 있다면 법에 따라 마땅히 처벌받아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학교에 해당 사안에 대한 사실 여부를 묻고 조치에 나서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일부 학부모단체는 인조잔디 운동장에 대한 공론화를 논의하겠다는 계획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학부모단체는 “이번 주말, 경기도권 일부 학부모들이 모여 공론화 방법을 모색할 예정”이라며 “아직까지 학교로부터 아무런 통보를 받지 못한 학부모가 대다수라 상황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아이들과 인근 주민들을 위해 운동장 관리에 신경 쓸 것”이라고 밝혔다.
관리ㆍ감독기관의 철저한 조사 및 수사를 촉구하는 시민단체 목소리도 더해지는 중이다.
수원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관계자는 “국민 세금으로 만들어진 운동장에 대해 정부나 교육청 등이 그동안 현장 실태감사 한 번 진행하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라며 “특히 학생들이 뛰어노는 학교 운동장에서 충격흡수성이 낮게 측정됐다면 교육청이 제대로 된 조사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영명 아이들이행복한세상 초대회장ㆍ고문은 “아이들 안전이 걸려 있는 문제인 만큼 정부기관이나 수사기관이 적극적으로 수사에 나서야 한다”며 “이러한 사태가 관행처럼 이뤄지지 않도록 처벌도 강화해 일벌백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