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화·노선변경 주민요구 불발
또 마찰… 대책위 “실력 행사”
평택시가 고덕신도시, 소사벌택지개발지구 등 대규모 개발사업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는 ‘동부고속화도로’ 건설을 “당초 계획대로 추진한다”고 밝혀 파문이 예상된다.
동부고속화도로 도심 통과 노선 지역 주민들이 소음과 매연 등을 이유로 부분지중화, 노선변경, 무료 이용 등을 요구해왔으나 정장선 시장이 이를 반영할 수 없다는 입장을 29일 분명히 했기 때문이다.
29일 정 시장은 시청 브리핑실에서 ‘동부고속화도로 향후 추진계획’을 주제로 한 언론브리핑에서 주민들이 요구하고 있는 ‘소사벌 구간’과 ‘송북동 구간’의 지중화에 대해 “현재 단계에서는 사업추진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지중화를 위해 2천700억 원의 예산이 추가로 투입될 경우 B/C 기준 미달로 사업이 중단될 수도 있기 때문이는 이유다. 대신 정 시장은 “지중화 민원 요구 취지를 이해하고 있다”며 “행정절차 이행을 통한 처리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정 시장은 또 주민들이 대안으로 제시한 노선 변경에 대해서도 ‘검토 불가’ 입장을 밝혔다. 그는 “도로경과지 주민과의 민-민 갈등을 초래하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본 노선은 민간투자법에 따른 대안노선검토를 실시한 노선으로 검토가 불가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 시장은 주민들의 요구 사항을 수용할 없는 것과 관련 “다시 한 번 송구하다”면서 사과했다.
앞서 정 시장은 6·13 지방선거 당시 유권자인 해당지역 주민들에게 지중화 등을 위해 현행 추진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이후 지난 9월5일 시청 종합상황실에서 동부고속화도로사업 해법을 찾기 위해 동부고속화도로대책위원회, 원유철·유의동 국회의원, LH 관계자, 우선협상대상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하는 ‘끝장토론’을 열었다.
이에 대해 동부고속화도로대책위원회 관계자는 “우리 대책위원회가 제안한 것이 하나도 받아들여지지 않고 원안대로 추진하려는 시장의 입장이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내일(30일) 대책회의를 통해 물리력 행사 등 모든 방법을 다 동원해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동부고속화도로는 평택시 죽백동~오산시 갈곶동까지 연장 15.77㎞, 4~6차로 규모로 2005년 당초 정부 재정으로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2011년 민자로 전환됐다. 총 4천449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내년 1월 착공, 2023년 4월 완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나 주민들이 도심 통과 구간 9.9㎞에 대해 지하화를 요구하면서 사업에 제동이 걸린 상태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