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기배동 주민들, 수원시 음식물자원화시설 지하화 요구

▲ 수원시음식물자원회시설증설공청회 전181101 (6)-copy1
▲ 1일 화성시 기배동주민센터에서 열린 수원시 음식물자원화시설(증설) 환경영향평가 공청회에서 화성시 기안동, 배양동 등 인접지역 주민 등 참석자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전형민기자

화성 기배동 주민들이 수원시 음식물자원화시설 증설의 지하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수원시는 1일 기배동주민센터 대강당에서 기배동 등 인근 주민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수원시 음식물자원화시설(증설) 환경영향평가(초안) 공청회’를 열었다.

 

이번 공청회는 음식물자원화시설 증설을 추진 중인 수원시가 이를 반대하는 인근 화성 주민들에게 시설 주변의 악취 현황과 증설에 따른 영향 예측 및 저감방안 등 환경영향평가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마련했다.

 

공청회의 좌장은 장윤영 광운대 교수가 맡았고, 주민들과 수원시 및 음식물자원화시설 관계자 등이 참석해 토론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날 주민들은 수원시 음식물자원화시설 증설시 악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하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패널로 참석한 주민 윤병희씨는 “이곳은 수 십년 전부터 수원시가 분뇨처리시설 등을 운영해 주민들이 악취로 인한 큰 피해를 입어 왔다”며 “그동안 주민들은 ‘국가가 하는 일’이라는 이유로 참고 살아왔는데 악취 문제를 해결하기는 커녕 시설을 증설한다고 하니 너무 화가 난다”고 말했다. 이어 “악취로 인해 아이들을 마음 놓고 키울 수 없게 되자 젊은 사람들이 동네를 떠나고 있다”며 “시설 증설에 반대하지만 꼭 해야하는 사업이라면 타지역처럼 시설의 지하화를 추진해 달라”고 호소했다.

 

주민 정구회씨도 “수원시가 공개한 환경영향평가에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 모든 항목이 기준치 이하로 조사됐다”며 “조사 당일 기상현황은 바람이 역풍으로 불 때 측정됐다. 매일 같이 주민들이 악취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조사의 타당성도 떨어지는 만큼 주민들 입회하에 제대로된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씨는 또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일은 불가능 하겠지만 시설을 지하화 한다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수원시 관계자는 “선제적인 투자가 이뤄졌다면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을텐데 항상 지역 주민들에게 죄송한 마음을 갖고 있다”며 “화성지역 관계자 등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 하도록 노력하겠다. 또한 악취 저감시설에 주안점을 두고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수원시 음식물자원화시설은 음식물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해 수원시가 지난 1999년 화성시와 경계지역인 수원 고색동 621 일대에 건립했으며, 시설 노후화에 따라 2016년 증설 계획이 수립됐다.

 

화성=박수철ㆍ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