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수팀이 개발한 바이오센서는 광섬유 단면에 금 나노입자를 부착, 여기에 미세유체칩을 결합한 구조다. 혈액을 바이오센서에 흘려주면 전립선암 항원들이 금 나노입자 표면 항체들과 결합해 특정 광학신호를 보내고, 이 결과로 암 발병 여부를 진단하게 된다.
연구팀에 따르면 바이오센서는 기존 장비에 비해 항원 검출 능력이 100배 이상 높고, 검사시간도 5분으로 단축되는 등 전립선암 진단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진단 오차율도 기존의 10~15% 수준에서 4%로 줄어든다.
이 교수는 “항원 검출반응은 초미세한 250 ㎛(마이크로미터) 직경의 광섬유에서 이뤄지며, 1ml당 124fg 항원을 검출할 수 있어 진단 우수성을 입증하기에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는 광학기술을 바탕으로 바이오센서와 나노기술을 접목한 것이다. 이어 이 교수는 “한국 남성의 암발병 5위가 전립선암인데 조기 진단을 놓쳤을 경우 많은 경비가 들어가는 게 현실”이라며 “새로 개발된 바이오센서는 2~3천 원 수준으로 양산이 가능해 국내외 의료기기 기업들이 주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미래유망 융합기술 파이오니어사업 및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 아래 진행됐다. 연구팀은 바이오센서 개발과 아울러 ▲미세유체 채널을 이용한 표면플라즈몬공명 센서장치 및 센서유닛 제조방법 ▲표면플라즈몬공명센서 신호보정방법 ▲표면플라즈몬공명센서 테스트 방법 등 3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을 완료했다.
한편 이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Sensors and Actuators B에 오는 10일 게재 예정이다. 논문제목은 ‘Real-time detection of prostate-specific antigens using a highly reliable fiber-optic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sensor combined with micro fluidic channel’(미세 유체 채널과 결합한 고신뢰도의 광섬유 국소화 표면 플라즈몬공명센서를 이용한 전립선 특이 항원의 실시간 검출)이다.
용인=강한수ㆍ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