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시론] 노벨상과 기후변화의 역사

▲
매년 가을이 찾아오면 과학기술계를 포함한 연구자들이나 오피니언 리더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도 노벨상 수상자 발표에 큰 관심을 갖기 마련이다.

노벨상의 여섯 분야에는 과학 3분야(물리학, 화학과 생리·의학)가 포함되어 있다. 기존 수상자 중 누구를 기후변화 분야에 포함할 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굳이 구분해본다면, 흥미롭게도 수상 분야가 물리학상, 화학상, 평화상, 경제학상 등 의외로 다양하다는 것이다.

 

지구의 평균기온이 인간 활동에 의해 방출된 온실가스로 인하여 감당할 수 없을 수준까지 올라가고 있다는 ‘지구온난화’에 대하여 우려하는 목소리가 처음 나오기 시작한 것은 19세기부터로 알려졌다.

 

노벨상이 제정되기 훨씬 이전인 1827년에 프랑스의 과학자 퓨리에는 지구표면을 덮고 있는 대기층이 따뜻한 담요 역할을 하여 지구 기온을 전 세계적으로 평균 15℃ 정도에서 유지시켜 주고 있다고 이해하고 이를 ‘온실효과’라고 명명하였다. 만약 온실가스가 없다면 지구대기는 어떻게 될까? 이론적으로 지구의 평균 기온은 현재보다 33℃가 낮은 영하 18℃가 되어 대부분의 생명체가 살기 어려운 환경이 되었을 것이다.

 

스웨덴의 화학자 아레니우스는 1897년 석탄의 과다 사용 탓에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면 대기의 기온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질 수 있다는 계산 결과를 발표하였고 이 결과가 직접 기여한 것은 아니지만 1903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그 후 독일의 빈은 이러한 온실효과를 정량적으로 규명하는 과학적 법칙을 만들어 191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게 된다.

 

이렇듯 과학 분야에만 주어지던 기후변화 관련 노벨상은 2007년에 정치가인 미국의 앨 고어 전 부통령과 기후변화 전문 국제기구인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 1988년 설립)가 평화상 공동 수상자로 발표되면서 수상 분야가 다양화해졌다. 기후변화협약(1992년)에 이어 교토의정서가 채택(1997년)된 지 10년 만의 일이다.

 

기후변화 문제는 모든 사회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사전 및 사후 대책 마련에도 장기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니 문제 해결에 엄청난 비용과 투자가 필요하기 마련이다. 결국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추진하려면 경제적 관점의 분석과 판단이 필연적으로 선행될 수밖에 없다.

 

그런 이유로 올해에는 ‘기후 카지노’라는 책의 저자로 잘 알려진, 미국 예일대학의 노드하우스(Nordhaus) 경제학 교수가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경제와 기후변화 사이의 상호 작용을 잘 분석 설명하면서 경제학의 분석 틀에 환경과 기술을 포함시켰다는 공로로 경제학상을 수상하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과학자이든 정치가이든 경제학자이든 간에 기후변화에 몸바쳐 온 사람들은 각자의 전문 분야를 떠나서 자신들의 활동이 종래에는 지구 환경문제에 대한 해법에 기여하기를 희망할 것이다. 노벨상 위원회도 수상자들의 노력과 성과를 인정하면서 앞으로 하나뿐인 지구를 소중히 지켜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는 강한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을 것이다.

 

다양한 분야 간의 정보 공유와 협업이 반드시 필요한 기후변화 문제의 속성을 고려해보면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차기 노벨상 수상자가 어느 분야에서 탄생할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김성균 수도권기상청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