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지역 주민 500여명, 청와대 인근서 영평사격장 피해대책 마련 촉구 궐기대회 개최

영평사격장 피해대책 마련 촉구를 위한 궐기대회가 14일 오후 2시 청와대 인근 효자치안센터 앞에서 사격장 주변지역 4개면(영북, 영중, 창수, 이동면) 주민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포천시 사격장 등 군 관련시설 범시민대책위원회(범대위)가 주관한 이날 궐기대회에서는 100여 개의 만장기가 등장했으며,영평사격장 피해대책 마련 촉구를 위한 결의문과 대통령 건의문 낭독 등으로 진행됐다.

범대위는 “포천시에 총 면적 50.54㎢의 9개 사격장이 65년 전부터 위치해 있다. 이 가운데 아시아 최대 사격장인 승진훈련장과 국내 유일하게 미군의 대규모 실사격 훈련이 연중 이루어지는 로드리게스 사격장에서는 주한미군뿐 아니라 미 본토와 타 해외주둔 미군까지 와서 헬기 사격을 비롯한 수많은 종류의 사격훈련을 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밤낮없는 사격으로 고막을 찢을 것 같은 포성에 매일 밤 잠을 이룰 수 없고, 마을 위로 포가 날아다니는가 하면, 사격진동에 건물이 갈라지고, 가축이 유산되고 있어 주민들은 사격을 저지하려고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고 피탄지인 불무산에 올라가야만 하는 처절한 현실에 처해 있다. 화성 매향리 사격장이 폐쇄되고, 군산 직도사격장이 삼천여 억 원의 지원을 받는 동안, 저희는 기나긴 시간 동안 더 큰 희생에도 그 누구도 관심조차 주지 않았다. 미국 격언에 No Pain, No Gain(노페인노게인) 이란 말이 있듯이 고통 없이 얻어지는 것은 없다. 저희는 영평사격장 문제에 근본적 해결이 될 때까지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청와대를 상대로 후대들이 사격장 오발탄의 공포와 소음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폐쇄ㆍ이전 등 정부차원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65년간 군 관련시설과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중첩 규제 탓에 낙후된 포천시를 위해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 수립 때 경기도에서 제출, 심의 중인 도봉산 포천선(옥정∼포천)건설사업이 반드시 조기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배려를 건의했다.

범대위 이길연 위원장은 “사격장으로 말미암은 각종 피해에 대해 근본적 대책이 마련될 때까지, 사격장이 폐쇄ㆍ이전될 때까지 결사적으로 투쟁할 것을 결의한다”고 밝혔다. 이날 궐기대회는 시가행진 등을 하지 않고 불상사 없이 1시간여 만에 종료됐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