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톱 축구장 12배 생기고, 물새떼 15배 이상 늘어나
물 체류시간 줄고 흐름 빨라져… 본래의 모습 되찾아
4대강 보 가운데 한강 수계로는 처음으로 수문을 개방했던 이포보가 본래의 모습을 되찾았다.
한강유역환경청은 지난달 4일부터 지난 13일까지 이포보를 취수제약수위(EL.26.4m)까지 개방한 후 수질과 경관, 생태계 등 14개 분야를 집중 관찰한 결과, 본래의 강 모습이 관찰됐다고 29일 밝혔다.
한강청에 따르면 한강은 4대강 사업 준설량은 타 수계에 비해 많지 않고 변화도 상대적으로 적다는 이유로 개방이 늦춰지다 한강 수계 3개 보 가운데 개방 여건이 양호한 이포보를 우선 개방했다.
이포보 개방에 따른 수위가 낮아지면서 복하천과 양화천 합류부 일대에서 모래톱과 자갈층, 퇴적펄층 등이 나타났다.
이번 개방으로 모래톱은 축구장 면적의 약 12배 수준인 0.086㎢가 새로 발생했는가 하면 수변공간은 9.8% 증가하면서 무려 축구장 면적의 약 58배에 달하는 0.406㎢나 늘었다.
또 하중도, 모래톱 등 생태공간이 늘어나고 습지, 웅덩이 및 여울구간이 형성돼 개방기간 관찰된 물새류는 9종 404마리로 보 개방전인 지난 9월 4종 26마리에 비해 종 수는 2배, 개체수는 15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텃새화된 물새류인 쇠백로와 왜가리, 중대백로 등 백로류와 민물가마우지 등이 증가했다.
한강청은 이포보 주변에 생태공간이 넓게 형성되면서 서식환경이 좋아지자 이 동물들이 인근에서 옮겨왔다고 추정했다.
물 흐름도 대폭 개선돼 보 개방 이후 체류시간은 이전 0.8일에서 50% 감소한 0.4일을 기록했고 유속은 개방전 8.5㎝/s보다 2배 이상 빨라진 19㎝/s을 기록했다.
조류(클로로필-a),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 총인(T-P) 등 수질은 예년 같은 기간과 유사한 범위지만, 개방 전보다는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앞서 한강청은 보 개방 당시 갑자기 바뀐 수량과 유속으로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을 감안해 보 수위 저하 속도를 통상 시간당 2~3㎝보다 낮은 1.6㎝로 낮추고, 밤에는 수위저하를 중지하는 등 보 개방 속도를 조절해 왔다.
덕분에 이번 개방에는 어류 폐사 사태는 보고되지 않았고 실제 현장조사 결과에서도 다슬기 및 조개류 폐사도 과거보다 크게 낮았다.
세부적인 내용은 30일부터 보 모니터링 종합정보 시스템에 공개될 예정이다.
하남=강영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