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사격장 등 군 관련시설 피해 보상 2조 9천여억 원 사업, 중앙정부에 요구한 것으로 밝혀져

포천시가 사격장 등 군 관련시설로 말미암은 피해 보상 차원에서 2조9천여 원에 달하는 사업지원을 중앙정부에 요구, 각 부처가 검토ㆍ심의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는 최근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검토되고 있는 철도유치 사업이 제1순위로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반영 여부에 대한 지역내 관심이 주목된다.

2일 시에 따르면 시는 박윤국 시장 취임 이후 영평사격장(로드리게스 미군 훈격장) 등 군 관련시설로 말미암은 피해 보상차원에서 지난 10월29일 국방부 영평사격장 갈등관리 협의회를 통해 15건, 2조9천227억 원에 달하는 사업지원을 중앙정부에 요구했다. 이 중 기반시설인 국철 연장 등 항공, 도로 사업에 2조8천282억 원을 요구, 전체 금액에 96%를 차지했다. 또 지역주민들을 위한 도시가스, 상수도설치 사업에 586억 원, 환경ㆍ지역경제 활성화ㆍ교육 등에 179억 원, 문화ㆍ관광사업에 180억 원 등이 포함됐다.

앞서 지난해 국방부는 영평사격장 주변지역 피해조사 용역에서 최근 10년간 1조3천500억 원의 손실규모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으며, 올해 경기연구원의 포천ㆍ철원 군 관련시설 주변지역 피해조사 용역에서는 사격장 주변 5㎞ 이내 지역 공시 시가 손실규모가 6천841억 원에 달한다고 보고됐다.

포천에는 군사시설보호구역 면적이 222.823㎢(약 6천740만 평)로 시 전체 면적에 24.2% 달한다. 이는 서울 여의도 면적의 77배이며, 이 가운데 영평사격장(13.52㎢)과 승진사격장은 (19.83㎢)은 각각 아시아 최대 규모로 6ㆍ25 전쟁 휴전 직후 설치돼 65년 동안 국내외 군인들이 이곳에서 사격을 이어오며 주변지역 주민들이 피해를 입고 있지만, 정부 지원은 전혀 없는 상태다.

시 관계자는 “사격장 등 군 관련시설로 인해 수도권이면서도 낙후된 도시로 전락, 상대적 피해를 본 시에 균형발전 측면에서나 피해보상 차원에서도 이 정도의 요구는 들어주리라 믿는다”면서 “한때 시의회에서는 11조 원의 피해 보상을 요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한 부분부터 우선 중앙정부에 요구, 현재 각 부처에서 검토ㆍ심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그동안 타 시ㆍ군 군 관련시설 피해로 말미암은 주변지역에 대해 지원을 해왔다. 군산 직도사격장 이전 설치에 3천437억 원, 성주ㆍ김천 사드배치 관련해 성주군은 22개 사업에 12조3천억 원, 김천시는 19개 사업에 7조6천억 원 규모를 각각 정부에 지원을 요구해 놓은 상태다. 또 평택 주한미군 이전 관련해 정부는 특별법 제정 및 각종 도시개발 지원을 약속했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