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항공정비단지’ 성공열쇠는 ‘공항경제권’ 지정

막대한 초기 투자비 감당땐 개발사업자 유치 한계 우려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연계 공항경제권 시범지역 지정
정부 설득 전략 방안 절실

인천국제공항 항공정비단지(MRO) 조성을 목표로 인천시·인천국제공항공사 등 5개 기관이 연내 ‘항공정비산업육성 공동추진단’ 발족을 예고했지만 갈 길은 아직 멀다.

정부가 지역균형 발전을 이유로 경남 사천공항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MRO 사업자로 선정, 전폭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다 보니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과 연계한 ‘인천공항 공항경제권 시범지역 지정’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견해가 제기된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경남 사천공항을 기반으로 한 KAI를 정부 지원 항공 MRO 사업자로 선정했다. 지역 균형발전 논리에 따른 국토부는 인천공항과 항공노선 운항이 비교도 안 되는 사천공항을 정부 주도 MRO 단지로 조성하고자 전폭적으로 지원하다 보니 인천공항 MRO단지 조성이 난관에 봉착해왔다.

그러나 정부가 최근 들어 인천공항 주변 MRO 사업성을 인정하는 쪽으로 입장을 선회하면서 인천공항에도 민간주도 MRO 단지 조성의 길이 열렸다.

실제로 지난 10월 19일 인천공항공사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관계자는 “MRO 단지의 경우 경남 사천은 국가 지정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인천공항 주변은 민간 투자사업으로 가능하리라 본다”며 “민간사업자가 있다면 수용할 수 있는 부지를 마련하겠다”고 인천공항 MRO 단지 조성에 긍정적인 입장을 표했다.

이에 따라 인천시를 비롯한 인천지역 경제단체뿐 아니라 인천공항공사가 참여하는 ‘항공정비산업육성 공동추진단’이 성과를 낼 가능성이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다만, 정부 지원 없이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을 감당하면 개발사업자 유치가 어려워서 인천공항을 공항경제권 시범지역으로 지정, 일자리 창출과 연계하는 전략이 시급한 상태다. MRO 사업이 제조업 대비 인건비 비중이 5배가량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시의 한 관계자는 “지난 8월 청와대에서 열린 민선 7기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MRO 단지를 포함해 첨단·물류·항공산업 교육훈련센터 설립으로 5만개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히면서 인천공항의 공항경제권 시범지역 지정을 정부에 공식 건의한 상태”라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