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고 10여일 넘도록 관심도 적어
업계측 “불량社 선정 가능성 커”
市는 “자격 미달 평가위원 제외”
김포시가 양촌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 관리운영의 민간위탁을 위한 업체 선정에 나선 가운데 민간업체 선정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6일 시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내년부터 오는 2021년까지 3년동안 폐수처리시설의 위탁관리 운영을 맡을 민간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시는 제안공모(협상에 의한 계약) 방식으로 입찰을 실시하고 있다.
이달 말 기존업체와의 계약이 만료됨에 따라 시는 안정적인 시설운영을 위해 연내 업체 선정을 위한 긴급입찰 사유서까지 붙여 지난달 26일 입찰공고를 냈다.
하지만 10여일이 넘도록 이렇다할 문의전화조차 없이 업계의 반응은 싸늘한 실정이다.
관련 업체들은 시의 입찰방식에 대해 공정한 평가를 담보할 수 없는 방식이라며 우려하는 의견을 제기했다.
이번 입찰방식은 제안공모(협상에 의한 계약)다. 업체들로부터 제안서를 접수받아 일정 수의 평가위원회를 구성, 업체들이 제출한 제안서를 기술(80%)과 가격(20%)으로 나누어 평가한 뒤 합산해 최고 점수를 받은 업체를 최종 선정하는 방식이다.
최종 평가위원은 7명을 선정하는데, 3배수인 21명 이상의 평가위원 후보자를 모집한 뒤, 이들 중에서 참가업체들이 최종 평가위원 7명을 뽑아 선정하는 절차를 밟는다.
업계는 이같은 일련의 과정 속에 제안서의 공정한 평가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우선 1차 평가위원 21명 이상의 후보자 선정을 접수순으로 결정할 경우, 입찰공고 전에 특정업체가 시의 공고일정을 알게 되면 평가위원 접수를 가장 먼저 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어 21명 이상의 평가위원 후보자 명단과 최종 7명의 평가위원 명단이 유출될 우려도 했다.
이와 함께 기술평가에 가격평가를 합산하는 시의 평가방식은 저가를 적어내는 불량업체가 선정될 가능성이 커 폐수처리시설의 부실운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구조라는게 업계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이에 최종 업체 선정은 환경관리공단 등 정부기관이나 제3의 기관에 의뢰해야만 이같은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 폐수처리업체 대표는 “평가위원 후보자나 최종 평가위원 명단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대책이 나오지 않는 한 이번 김포시의 업체 선정 입찰이 활성화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평가위원 후보자는 접수순이 아닌, 자격이 부족한 인사를 제외하고는 접수되는 모든 인사를 모두 평가위원 후보자로 해서 최종 7명의 평가위원을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김포=양형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