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백을 향한 검찰의 기소가 실제로 이뤄지자 1천300만 도민이 술렁이고 있다. ‘새로운 경기’ 건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와 임기 동안 이어질 재판을 지켜보자는 믿음의 끈이 교차하는 모양새다.
검찰이 11일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로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기소한 가운데 도청 내부에서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12월 초 도청은 내년도 예산안 심의로 어느 때보다 분주한 시기이지만 전날 검찰의 기소 발표 일정이 예고되면서 이날만큼은 직원들의 집중력이 다소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이날 발표된 ‘생활적폐 청산ㆍ공정경기 핵심과제 24개’도 대부분 이 지사의 강조 사안으로, 이 지사의 법적 공방이 이어지면 동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또 이 지사가 평소 직원들을 적극 독려하며 도정을 이끄는 리더십을 발휘했기 때문에 이번 기소의 여파도 크다는 평이다.
도내 25개 산하기관의 분위기도 마찬가지였다. 협치의 깃발 아래 민선 7기 출범 이후 산하기관이 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서다. 더구나 몇몇 산하기관은 이 지사의 측근들로 임명됐기 때문에 기관의 미래를 걱정하기도 했다.
도의 한 관계자는 “평소 공정과 정의를 보여준 지사의 모습을 지켜봤기 때문에 재판 결과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지는 않는다”며 “다만 향후 이어질 재판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은 무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찰은 불기소 처분된 ‘혜경궁 김씨’ 트위터 사건에 주목했다. 이를 수사했던 경찰 내부에서는 ‘당혹’을 넘어 ‘허탈’하다는 분위기가 팽배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소속 현직 도지사의 부인을 상대로 자칫 허점이 드러나면 경찰 전체의 수사능력이 도마 위에 오를 비판을 감수하고 ‘진실’을 밝히기 위한 경찰의 노력이 물거품 됐다는 이유에서다.
경찰은 이날 공식 입장문을 통해 “약 7개월에 걸쳐 검찰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수사를 진행했다”며 “검찰의 (트위터 사건) 불기소 결정은 다소 의외라는 점을 알려 드린다”고 전했다.
양휘모ㆍ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