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당국 서비스 올해로 종료
대부분 시·군들 안일한 대처
내년부터 처리 놓고 혼란 우려
시민 편의를 위해 일선 소방서에서 시행 중인 ‘폐소화기 수거지원 서비스’가 종료를 앞둔(본보 5월9일자 1면) 가운데 경기도 내 31개 시ㆍ군 중 폐소화기 처리 관련 조례를 마련한 곳이 단 1곳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폐소화기의 경우 마땅한 처리지침이 없어 소방서의 수거지원 서비스가 끝나기 전까지 대안을 마련해야 하지만, 이처럼 해당 문제에 대해 일선 시ㆍ군이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어 내년 소화기 폐기 현장에서 상당한 혼란이 예상된다.
30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1월 분말소화기의 사용연한을 10년으로 제한하는 내용연수 제도 시행 이후, 폐소화기 처리에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을 위해 소방당국이 직접 노후소화기를 거둬들여 전문 폐기업체로 전달하는 ‘폐소화기 수거지원 서비스’가 올해로 종료된다.
해당 서비스가 올해 종료됨에 따라 시민들의 폐소화기 처리 혼란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현재는 인근 소방서 등을 찾아 노후소화기를 맡기면 그만이지만, 내년부터는 전문 폐기업체에 직접 소화기를 갖고 방문하거나 별도의 물류비를 내고 택배 등으로 보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노후소화기 처리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소방당국은 도내 시ㆍ군들에게 소화기도 일반 생활폐기물처럼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관련 조례 등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이천시만이 기존의 ‘폐기물 관리에 관한 조례’를 일부 개정해 대형폐기물에 소화기를 포함, 지난 10월부터 폐기 스티커(100㎏ 이하 2천 원ㆍ100㎏ 이상 3천 원)를 부착해 소화기를 분리배출 할 수 있게 했다.
나머지 30개 시ㆍ군 가운데 안성시와 수원시만 각각 내년 2월과 4월께 폐소화기 처리 관련 조례 개정이 예정돼 있는 상태로, 대부분 지방자치단체가 해당 문제에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소방청 추산 올해부터 향후 5년간 발생할 폐소화기가 전국 기준 약 1천15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는데, 일선 시ㆍ군이 현장 혼란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볼멘소리도 나오고 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일선 시ㆍ군에 관련 조례 마련 협조 요청을 보내고 있으나 아직 관심도가 낮아 수거지원 서비스 연장도 검토 중”이라며 “폐소화기를 기존 생활폐기물처럼 배출할 수 있게 되면 시민들 편의 증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