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규정 무시한 보복인사 의혹 논란

특정 직원에 반복 좌천인사 지적
市 “능력중심 원칙 최대한 반영”

김포시가 지난 8월 민선7기 대규모 첫 인사에 이어 지난 28일 단행한 정기인사가 전보제한 인사규정을 무시하거나 전 시장 측근 좌천인사 등 또 다시 논란이 일고 있다.

30일 시에 따르면 시는 1월 2일자로 서기관 3명, 사무관 승진 및 전보 12명 등 100여명의 직원들에 대한 승진과 전보, 신규임용 인사를 단행했다. 하지만, 시는 지난 8월 인사에서도 논란이 됐던 전보제한 인사규정을 무시하고 특정 직원에 대한 반복된 좌천인사가 이뤄지는 등 인사에 대해 시의 안팎의 논란이 거듭되고 있다.

지방공무원임용령(전보임용의원칙) 제26조 2항에 따르면 ‘임용권자는 잦은 전보에 따른 능률 저하를 방지, 소속 공무원이 안정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시는 이번 인사에서 이같은 규정을 무시하고 특정 직원들에 대한 인사, 그것도 납득이 안되는 좌천인사를 단행하는 무리수를 뒀다. 표면적인 이유는 직원들의 업무능력 저하의 이유를 들고 있지만 설득력이 떨어진다. 특히 시는 이번 인사에 앞서 밝힌 인사예고에서 인사기준을 ‘능력중심의 공정한 인사’로 제시하고 전보인사는 승진자, 동일부서 장기근무자 등을 대상으로 업무의 전문성과 연속성을 감안해 배치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8월 인사의 미비점과 그 간의 인력 운용상 문제점 보완에 중점을 두겠다고 제시했다.

하지만, 그 원칙은 특정 직원에 대해서는 철저히 무시됐다. 국장진급 상위서열인 A 과장은 정하영 시장 취임이후 6개월 동안 행정과장에서 교통과장, 이번에 구래동장 전보까지 2번의 좌천성 인사의 대상이 되는 수모를 겪었다. 전임 민선 6기 유영록 시장 재임시 업무추진능력을 인정받아 행정과장에 영전됐지만, 정 시장 취임 후 정반대의 상황을 맞고 있다. 유 전 시장의 측근이었기 때문이란게 공직사회의 정설이다.

유 전 시장의 측근 좌천인사는 또 있다. 요직에 있던 B팀장도 읍ㆍ면으로 좌천됐다. 면장 인사파동을 겪은 월곶면은 이번에도 2명의 팀장이 발령, 4개월만에 교체되자 발끈하고 있다. 이 지역 한 이장은 “매번 인사때마다 월곶면에 대한 배려는 없었다”며 “도대체 직원들과 교감할 시간이 없을 정도로 인사가 원칙이 없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이밖에도 또 다른 팀장은 현부서 발령 4개월 만에 타부서로 교체되는 상황을 맞으며 조직내에서 기피인물로 낙인찍힐 위기를 맞고 있다. 전문성도 무시됐다. 녹지직이 배치돼야 할 공원녹지과장과 공원관리과장은 동장으로 상당기간 근무하고 있는 녹지직 사무관이 있음에도 농업직과 행정직이 배치됐다.

상황이 이렇자 지난 인사에서도 제기됐듯이 부서장들의 불만도 거세게 일고 있다. 일부 부서장들은 “일체의 언급없이 부서원들을 갑작스럽게 교체해 업무능력 저하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의 한 간부 직원은 “인사의 공정성이 이런 것이라면 납득하기 어렵다”며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후속 조치가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인사는 능력중심의 공정한 인사의 원칙을 최대한 반영한 인사”라며 “그렇지만 부분적으로 전보 과정에서 인사의 폭이 좁았던 부분도 없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