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무건리훈련장 소음 피해 최소화…‘민·관·군 협의체’ 구성 시동

남북 간 화해 무드 여파로 군사분계선(MDL) 반경 5㎞ 내 모든 군사훈련 중단 이후, 5㎞를 벗어난 파주 무건리훈련장에 훈련이 몰려 주민들이 소음 피해를 호소(본보 2018년 11월29일자 1면)하자 국방부가 피해 최소화를 위해 ‘민ㆍ관ㆍ군 협의체’ 구성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14일 국방부, 육군, 파주시 등에 따르면 군은 지난달 말 파주 무건리 주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시에 협의체 구성을 제의했다.

구성원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파주시, 무건리 주민, 육군 25사단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으며, 군은 이번 협의체를 통해 주민과의 의사소통 창구를 만들어 앞으로의 지원 대책 등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현재는 협의서 초안을 작성 중인 단계로 빠르면 이달 중, 늦어도 다음달 내 협의체가 구성될 전망이다.

파주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소음 피해를 해소하는 데 어려움이 컸던 상황에서 군이 문제 해결을 위해 먼저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며 “협의체가 꾸려지면 주민 건의사항 중 수용할 수 있는 것은 수용하는 방향으로 진척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방부는 양주시에서도 민ㆍ관ㆍ군 협의체 구성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육군이 양주 광적면 가납리 비행장 부지에 헬기부대를 이전하려 하자 양주시가 강하게 반발, 이 갈등을 풀기 위해 파주시와 마찬가지로 협의체를 꾸려 소통창구를 만들자는 취지다.

양주시 관계자는 “본격적인 추진안이 나오진 않았지만 파주 등이 민ㆍ관ㆍ군 협의체를 추진하는 만큼 양주도 지난 11일 육군과 만나 주민들의 분위기를 전했다”며 “이 의견은 국방부에 전달될 예정으로, 협의체는 그 이후 상황을 지켜봐야 안다”고 설명했다.

주민들은 차분히 협의체 추진 과정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파주 무건리 이장협의회 관계자는 “여전히 포탄 소리가 끊이지 않고 소음 피해가 막심하지만 민ㆍ관ㆍ군 협의체를 구성한다고 하니 지금은 크게 반발하는 움직임은 없다”며 “추진 결과를 조용히 지켜볼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육군 관계자는 “아직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 초기 단계지만 경기북부 일부 지역들과 민ㆍ관ㆍ군 협의체 구성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일정은 유동적이나 우선 목표는 2월 초에 협의체를 구성하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종현ㆍ김요섭ㆍ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