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이끌 ‘미래동력’
뇌관련 첨단산업·의료 한곳에 ‘브레인 사이언스 파크’ 눈길
치매나 뇌졸중 등 뇌신경질환의 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을 실용화하기 위해서 뇌관련 첨단산업과 의료기관이 한곳에 결집해 협력할 수 있는 곳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컨퍼런스가 열렸다.
17일 오전 11시 수원 라마다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뇌 과학-ICT-의료융합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컨퍼런스’에서는 치매, 뇌졸중(뇌질환) 의료 클러스터 조성 첨단 의료 산업의 미래 성장 동력 선도 등에 관한 연설과 프레젠테이션 등이 이어졌다.
이날 컨퍼런스는 신약개발업체인 ㈜지엔티파마가 주최하고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한국뇌신경과학회, 뇌질환연구협의회가 후원했다.
데니스 최(한국명 최원규) 미국 뉴욕스토니브룩의과대 석좌교수는 기조 강연을 통해 “급속히 발전하는 뇌과학에 힘입어 뇌·척수 등 신경질환의 치료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뇌기반 인공지능이 4차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면서 “한국은 의료 수요와 함께 관련 기업의 연구개발 역량이 잘 갖춰져 있고 정부도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펴고 있는 만큼, 뇌관련 의료융합 클러스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곽병주 지엔티파마 대표는 ‘4차산업혁명과 치매’란 주제강연을 통해 “전 세계는 1억 명이 넘는 치매와 뇌졸중 환자로 심각한 사회·경제적인 부담을 안고 있다. 이같은 문제는 4차산업혁명으로 반드시 해결해야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엔티파마는 난치성 질환인 뇌졸중·치매 치료제를 개발해 국내·외에서 임상시험 중에 있으며 국내 최초의 뇌 관련 의료복합단지인 ‘브레인 사이언스파크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엔티파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 경기도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치매치료제(AAD-2004)가 중증 치매에 걸린 반려견에서 치료 효과를 보였으며 뇌졸중 치료제(Neu 2000)는 중국에서 임상 2상 환자(237명) 등록을 끝내고 올 하반기 임상 3상에 들어간다.
용인=강한수ㆍ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