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변경·확정] 남북협력 기반조성 등 2조 집중…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육성

道, 전체 사업비 줄었지만 국비 1천443억원 추가 확보
DMZ 도보여행길·연천 BIX 조성 등 38개 사업 개발

정부가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을 변경·확정함에 따라 경기도 접경지역 개발 사업에 필요한 국비가 당초보다 1천443억 원 더 확보하게 됐다.

행정안전부는 최근 ‘접경지역 지원특별법’ 제5조에 의거해 변화된 국내·외 여건을 반영하고, 타당성과 실현가능성이 낮은 사업 등을 정비하기 위해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을 변경·확정했다.

2011년 7월 수립된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2011~2030년)’은 당초 경기·인천·강원 등 접경지 3개 시ㆍ도에 165개 사업 18조 8천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었으나, 이번 계획변경으로 225개 사업 13조 2천억 원으로 조정됐다. 이중 경기도는 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 등 접경지 7개 시ㆍ군이 해당되며, 최초 45개 사업 7조 5천329억 원(국비 1조 6천539억 원, 지방비 4천441억 원, 민자 5조 4천349억 원)에서 38개 사업 3조 5천171억 원(국비 1조 7천982억, 지방비 4천792억, 민자 1조 2천397억)으로 변경됐다.

■국비 1조 7천982억 원…1천443억 원 증액

정부의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이 변경·확정되면서 경기도 국비는 당초 1조 6천539억 원에서 1조 7천982억 원으로 1천443억 원이 증액됐고, 지방비도 기존 4천441억 원에서 4천792억 원으로 351억 원이 늘었다.

비록 당초 전체 사업비보다 4조 158억 원이 감소했지만, 양주 UN빌리지·동두천 그린에코빌리지 등 투자실적이 없거나 실현 가능성이 낮은 민자사업들을 과감히 조정함으로써 사업추진의 효율성을 높이게 됐다.

구체적으로 연천 BIX 조성(1천188억 원), 한탄강 주상절리길 조성(415억 원)을 포함해 생활SOC 확충 및 숙원사업 등 16개 사업(4천465억 원)이 새로 반영됐고, 남북 협력 기반조성, 균형발전 등 16개 사업(2조 3천940억 원)이 변경·조정됐다.

우선 상패동 악취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는 양주시와 동두천시를 위해 상생협력사업 일환으로 곤충테마파크 조성사업(국비 180억 원, 지방비 180억 원)과 동두천·양주 상생플랫폼 구축사업(국비 165억 원, 지방비 165억 원)이 반영돼 일부 문제해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자연·생태문화가 잘 보존된 한탄강 권역의 주상절리 협곡의 가치를 높이는 연천·포천 한탄강 주상절리길 사업(국비 290억 원, 지방비 125억 원)이 반영됐다. 아울러 고양시 화훼산업 활성화 지원을 위해 고양 스마트 플라워 시티 사업(국비 70억 원, 지방비 30억 원)이 신규로 추가됐다.

■DMZ 도보여행길 조성ㆍ LPG 공급

이와 함께 강화~파주~포천~연천~고성 등 10개 시ㆍ군을 잇는 접경지역의 생태ㆍ평화 관광 활성화에도 집중적으로 사업비가 투입된다.

분단ㆍ평화의 상징이자 생태계의 보고인 비무장지대(DMZ) 인근에 도보여행길을 조성해 세계적인 관광코스로 개발한다. 2022년까지 286억 원을 들여 강화~파주~포천~연천~고성을 잇는 456㎞의 도보길(통일을 여는 길)을 만든다는 구상이다.

또 김포ㆍ파주시와ㆍ강화ㆍ옹진군 등 도시가스 미공급지역에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LPG 저장시설 및 공급관 확충을 오는 2030년까지 2천35억 원의 사업비(국비 1천297억 원, 지방비 552억 원, 민자 186억 원)가 투입된다. 이중 김포시는 총 배관연장 13.57km, 사업비 25억 원(국비 20억, 지방비 5억 원), 파주시는 도시가스 미공급지역 8개 읍ㆍ면에 600억 원(국비 420억 원, 지방비 180억 원)을 각각 투입, 도시가스를 공급할 계획이다.

정상균 경기도 균형발전기획실장은 “이번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변경으로 낙후된 접경지역에 기반시설이 확충되고 주민들의 삶이 풍요로워 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해인ㆍ이선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