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이현재국회의원(하남ㆍ국회 국토교통위)은 개발제한구역(GB) 내 ‘훼손지 정비사업’의 요건을 완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발의는 그린벨트 내 축사와 창고 등 무단 용도변경 행위에 대해 이행강제금과 같은 처벌위주 행정이 아닌 근본적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비판에 따른 것.
앞서 이 의원의 개정안 대표발의로 이행강제금이 지난 2015년부터 내년 말까지 6년간 징수유예됐다.
또, 훼손된 지역을 주민들이 직접 정비하고 일부(30% 이상)를 공원녹지로 조성할 시 창고 설치를 허용하는 ‘훼손지 정비사업’이 불법 축사 양성화 방안으로 지난2015년 관련 법 개정을 통해 한시적으로 도입됐다.
그러나 현행 법령상 ‘훼손지 정비사업’은 주민들의 입장에서 재산권 포기가 과도한데다 추진 절차가 복잡해 현재까지도 실적이 전무한 상황이었다.
게다가 사업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유인 강화와 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이 의원은 “법 개정을 통해 개발제한구역 내 훼손지 정비사업의 추진 요건을 완화,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 의원은 ▲기부채납 면적(30%)에 도로 면적 포함(10% 이내) ▲정비사업의 사업시행자 확대 ▲정비사업 절차 완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개발제한구역법 개정안을 지난 8일 국회에 제출했다.
이 의원은 “현재 정비사업은 녹지 보전을 위해 30% 이상 기부채납 하는 경우 물류창고를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도로 등 기타 필요면적까지 포함할시 사업성이 지나치게 낮아 사업신청이 어려운 상황이었다”고 전제한 뒤 “기부채납 면적에 도로를 일부 포함시키고 사업부지 외 공원 조성도 허용하는 법 개정안 통과시 사업성 제고를 통해 사업 추진이 활발해지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개정안에는 김광림, 김선동, 김성원, 김영우, 민경욱, 박덕흠, 박순자, 송석준, 원유철, 윤영석, 윤종필, 이양수, 임이자, 주광덕, 함진규, 홍철호 의원 등 16명이 공동발의 했다.
하남=강영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