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의회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 ‘부천시 4차 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조례는 대표발의자 도시교통위원회 박병권 위원장을 비롯한 8인의 의원이 공동발의해 지난 제234회 임시회에서 통과됐다.
조례안은 부천시장이 4차 산업혁명을 촉진하기 위해 5년마다 산업혁명 종합계획을 수립ㆍ운영하고 전문가 위원회 구성 및 관내기업에 기술 관련 정보 제공과 전문가 컨설팅 지원사항 등을 규정하고 있다.
박 위원장은 ”경제 및 사회 전반에 변화를 일으키는 4차 산업혁명 확산 추세에 우리 기업들이 빠르게 대응하고 세계 속 무한 경쟁에서 이겨나갈 수 있도록 4차 산업혁명을 촉진하고 지원함으로써 지역 경제의 지속 발전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법안을 발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4차 산업혁명은 제조업과 ICT, 즉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이며, 미국은 명실공히 4차 산업혁명의 리더국”이라면서 “독일은 뛰어난 제조업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인더스트리 4.0을 추진하고 있고, 일본은 기술 우위를 가지고 있는 자동차, 센서, 로봇 산업을 중심으로 노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한 생산인구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소사이어티 5.0으로 미국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을 리드하고 있는데 우리는 아직까지 4차 산업혁명 개념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박 위원장은 이어 “중국은 전통의 제조업과 농업을 융합한 인터넷플러스로 4차 산업혁명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우리가 지금부터 선진국을 맹추격해도 따라잡는데 5년 이상 걸릴 것을 고려하면 지금부터 선제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천=오세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