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어천 공공주택지구 개발 철회하라”

주민대책위 100여명 시위
“개인사유지 강제 수용은 폭력
공공주택특별법도 폐지해야”

화성시 어천 공공주택지구 개발사업에 편입된 토지주들이 16일 오후 사업 철회 등을 요구하며 차량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날 주민들은 트랙터 4대와 승용차 20여 대를 동원해 매송면사무소에서 화성시청까지 가두 행진을 벌인 후 시청 앞에서 농성을 벌였다. 윤원규 수습기자
화성시 어천 공공주택지구 개발사업에 편입된 토지주들이 16일 오후 사업 철회 등을 요구하며 차량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날 주민들은 트랙터 4대와 승용차 20여 대를 동원해 매송면사무소에서 화성시청까지 가두 행진을 벌인 후 시청 앞에서 농성을 벌였다. 윤원규 수습기자

화성 어천 공공주택지구 개발사업에 편입된 토지주들이 사업 철회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화성 어천공공주택지구 주민대책위원회 회원 100여명은 16일 낮 12시 매송면사무소에서 개발사업 철회 및 공공주택 특별법 폐지ㆍ개정 등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개발 폐지’, ‘강제수용 결사 반대’ 등의 문구가 적힌 빨간색 깃발이 달린 트랙터 4대와 승용차 20여대를 동원, 매송면사무에서 화성시청까지 시위 행진을 펼쳤다.

대책위는 “어천공공주택지구 사업을 LH가 토지 보상가를 턱없 낮게 책정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면서 “어천지구 사업 철회와 개인사유지를 강제 수용하도록 한 공공주택특별법 폐지를 주장하기 위해 집회를 열게 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어천역의 위상도 고려되지 않고 졸속으로 진행되는 어천지구 사업에 대해 화성시가 적극 반대행동에 동참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어천지구 사업은 물론 미분양 속출하는 화성시 공공주택사업의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병찬 화성어천지구주민대책위원회장은 “토지를 강제로 수용하는 것은 폭력이고 서민을 짓밟는 처사”라며 “대책위의 요구사항이 관철될 때까지 대책위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투쟁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날 오후 3시 시 지역개발사업소장에게 성명서를 전달한 뒤 자진 해산했다.

시 관계자는 “시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은 크게 없지만 주민들의 건의ㆍ요구 사항을 국토부에 전달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화성시는 지난 2017년 8월 수인선과 KTX 환승역인 어천역이 들어서는 매송면 어천리 일대를 택지지구로 개발키로 하고 80여만㎡를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으로 지정했다.

이어 LH가 사업에 뛰어들어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31일 화성어천 공공주택지구의 지정 및 지형도면 등을 확정 고시했다.

이에 따라 어천지구는 오는 2023년까지 74만3천783㎡에 공동주택 3천562세대와 단독주택 179세대 등을 비롯해 도시지원시설(6만여㎡), 물류시설(3만3천여㎡), 공공시설(36만2천여㎡), 종교ㆍ사회복지시설(2만6천여㎡) 등을 조성하게 된다.

화성=박수철ㆍ이상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