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일동 환경자원센터 內 증설 예정… 분쟁조정 불가피
현 부지에 신설 땐 3년간 처리 중단… 쓰레기 대란 우려
의정부시가 수명이 다한 장암동 쓰레기소각장을 대체할 신규 부지 선정에 나섰으나 주민 반발로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민락, 고산지구 개발로 쓰레기 발생량이 늘어나는데다 현 부지에 새로운 소각장을 건설하려면 최소 3년은 쓰레기 처리를 중단해야 돼 쓰레기 대란까지 우려되고 있다.
16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지난 2016년 한국환경공단 기술진단 결과, 지난 2001년부터 가동해 온 200t 처리 규모의 현 소각장은 15년 내구연한이 지나 보수를 하면서 사용해도 2021년까지밖에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각률도 떨어져 의정부에서 발생하는 200t의 쓰레기 중 170t만 처리하고 나머지 30t은 수도권매립지로 반출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새로운 시설로 대체하고 민락, 고산지구 개발 등에 따라 처리용량을 늘리도록 했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2017년 쓰레기 소각장 현대화사업 타당성 조사에 나서 처리규모를 1일 220t으로 늘리고 자일동 환경자원센터 내 여유부지를 적합지로 정해 이전 증설하기로 했다. 지난해 7월 입지선정계획을 공고하고 올 3월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 공람을 했으며, 지난달 29일 의정부시를 시작으로 남양주, 포천, 양주시민을 대상으로 주민설명회를 마쳤다.
하지만 자일동 예정부지가 포천시 및 양주시 경계와 불과 수백여m 떨어진 탓에 피해를 우려한 양주 고읍, 포천 소흘읍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 환경분쟁조정위로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1.2㎞ 떨어진 의정부 민락2 주민들의 집단반발도 예상된다.
이에 시는 현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가동을 중단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소각장을 건설하기로 방향을 바꿨다. 앞으로 환경부 한강유역관리청의 전략환경영향평가 승인을 받은 뒤 다시 1년에 걸쳐 환경영향평가를 받는 등 순조롭게 행정절차가 진행돼도 최소 1년6개월 이상 걸린다. 승인과정에서 보완이라도 떨어지면 행정절차만 2년 이상이 걸릴 수도 있다. 이어 소각장을 건설하는데 최소 3년은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최소 5년은 지나야 새로운 소각장을 가동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결국 한국 환경기술공단이 제시한 사용연한을 훨씬 넘기는 셈이다.
시 관계자는 “보수를 하면서 몇년 간은 가동을 해 나가겠지만 노후화돼 언제든 갑작스런 가동중단으로 대란이 올 수 있다”며 “다행히 자일동 환경자원센터에 여유부지가 있어 이를 예정부지로 계획하고 있다. 야산으로 주거지와도 격리되고 외곽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주민들이 우려하는 오염물질 배출에 대해선 “현 소각장도 다이옥신이 기준치의 100분2 이하로 검출되는 등 문제가 없다. 특히 신설 소각장은 최첨단 환경오염방지시설을 갖출 예정”이라고 밝혔다.
의정부=김동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