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이틀간 내린 비에 7억대 피해
부실공사 논란 속 8개월만에 돌입
2016년에도 비슷한 피해로 복구
주민 “혈세낭비 없게 영구복구를”
시공사 책임논란 속 수해발생 8개월 만에 시작되는 의정부 생태하천 백석천 복구공사가 이번에는 제대로 될 지 시민들의 우려가 크다. 비슷한 수해를 입어 복구한 구간에 2년만에 피해가 재연된데다 복구가 늦어지면서 안정이 되지 않은채 우기가 닥치면 다시 휩쓸리는 것이 아닌지 걱정하는 것이다.
23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지난해 8월29~30일 이틀간 의정부 지역에 436㎜의 비가 내리면서 백석천 상류 1㎞ 정도의 저수호안, 산책로 등이 유실되는 등 7억 원 상당의 피해를 입었다.
이후 의정부시와 시공사가 부실공사 책임 논란을 벌였으나 시와 생태하천 복원공사를 위탁관리감독해 온 한국환경공단, 시공사인 금호산업이 상호협력해 복구에 나서기로 결정했다.
시는 소요되는 관급자재(10억 원 상당)를 직접 구매해 지원하는 한편 금호산업은 22억 원을 부담해 공사를 하고 감독은 한국환경공단이 맡기로 지난 12일 합의했다. 이달 말부터 공사에 나서 오는 6월 중순, 우기 전까지는 복구를 끝낼 예정이다.
유실된 저수호안은 찰쌓기를 하고 산책로는 쇄굴이 되지 않도록 흙 콘크리트로 전면 포장하기로 했다.
또 지난해 수해구간 복구를 한 뒤 나머지 구간도 진단해 수해예방차원서 항구복구에 나설 계획이다.
하지만 시민들은 같은 구간이 생태하천복원 준공을 앞둔 지난 2016년 7월 249㎜의 비로 지난해와 비슷한 피해를 입었던 점을 들어 이번 복구에 대해 회의적인 눈길이다.
백석천 부근에 거주하는 시민 K씨는 “지난 2016년 수해 때도 재시공이나 다름없는 복구를 한다고 했었다. 그런데도 또 무너졌다. 수억 원의 혈세만 낭비되는 일이 되풀이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원진 의정부시 하천관리팀장은 “2016년 수해복구는 생태하천 기준에 맞게 했다. 저수호안 돌도 뫼 쌓기를 했고 산책로도 투수 콘크리트로 포장을 했다. 산책로 옆도 포장 안 된 여지가 있어 쇄굴될 수 밖에 없었다”며 “생태하천 기준에 맞게 공사를 한 만큼 부실공사는 아니지만 피해를 입은 상류구간은 하도가 암반이고 급류 등 하천의 특성을 감안하지 않고 무리하게 생태하천 개념으로 공사를 한점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한편 의정부 백석천은 가능 고가교에서 중랑천 합류점에 이르는 3.35㎞의 지방하천이다. 시청 앞 등 일부 구간을 1991년 콘크리트 구조물로 덮어 주차장으로 사용하다 지난 2009년 환경부의 생태하천복원사업인 ‘청계천+20 프로젝트’에 선정돼 국비 등 총 550억 원을 들여 2016년 10월 생태하천으로 복원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