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목원, 광릉숲에서 일반인과 함께하는 1박2일 생물 탐사, 1천424종 확인

작은관코박쥐
작은관코박쥐

국립수목원이 25∼26일 광릉 숲 절대 보존림에서 일반인과 함께 생물을 탐사하는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9’(Bio Blitz Korea)를 진행, 1천424종을 확인했다.

이번 탐사에서 멸종위기Ⅰ급인 작은관코박쥐, 대륙쇠큰수염박쥐, 쇠큰수염박쥐, 관박쥐 등이 발견됐다.

특히 작은관코박쥐는 2012년 국내에서 처음 관찰된 뒤 지리산, 소백산, 오대산, 점봉산에 이어 다섯 번째로 광릉 숲에서도 확인됐다.

또 개미와 공생하는 개미부치쥐며느리가 제주도, 비음산에 이어 국내 세 번째로 발견, 탐사 목록에 기록됐다.

참가자들은 멸종위기 Ⅱ급인 담비와 국제자연보존연맹(IUCN) 관심 대상 종인 삵, 오소리를 비롯해 양서파충류인 구렁이, 대륙유혈목 등의 서식도 확인했다.

식물은 민은난초 등 612종이, 곤충은 광릉 숲에만 서식하는 ‘사슴벌레붙이’와 10년 만에 발견돼 최근 학계 보고된 광릉왕맵시방아벌레 등 427종이 관찰됐다.

이밖에 버섯 54종, 지의류 47종, 어류 14종, 조류 55종 등도 이번 탐사에서 확인됐다.

바이오블리츠는 생물 분야 권위자들과 일반인이 24시간 동안 특정 지역에서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생물 종을 찾아 목록을 만드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과학 참여 활동이다.

국내에서는 2010년 경북 봉화에서 시작돼 올해가 10회째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