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시공사 양주테크노밸리-융복합센터 사업 급물살…도의회 상임위 추진동의 원안가결

경기도시공사가 3천억 원대의 양주 테크노밸리와 융ㆍ복합 센터 사업을 추진(본보 5월9일자 1면)하는 가운데 경기도의회 소관 상임위원회에서 해당 사업의 추진동의안이 가결되면서 사업이 급물살을 타게 됐다.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위원장 박재만)는 27일 상임위 회의를 열고 ‘경기도시공사 양주 테크노밸리 조성사업 신규투자사업 추진동의안’과 ‘경기도시공사 융ㆍ복합 센터 건립사업 신규투자사업 추진동의안’을 심의, 원안가결했다.

이날 상정된 경기도시공사 양주 테크노밸리 조성사업 신규투자사업 추진동의안은 양주시 마전동 일원에 구축될 양주 테크노밸리(30만 564㎡ 규모, 1천424억 원 투입)에 대한 타당성 동의를 도의회로부터 받고자 상정됐다. 도시위는 2022년 착공 예정인 해당 사업에 대해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서 경제성 미흡으로 평가했지만 타 산업단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수치고, 재무성이 확보됐다고 분석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경기북부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을 고려, 사업 필요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경기도시공사 융ㆍ복합 센터 건립사업 신규투자사업 추진동의안은 도청 신청사가 들어서는 경기융합타운 내 건립될 예정인 융ㆍ복합 센터(8천744㎡ 규모, 1천793억 원 투입)의 신규투자 타당성을 점검하고자 도의회 상임위 심의를 거치게 됐다. 해당 사업에 대해 도시위는 ‘지방공기업평가원’ 검토결과 경제적 타당성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돼 이를 보완할 공공성 확보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하지만 교통체계 및 주변 도시와의 접근성이 양호, 광교신도시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또 경기도시공사 신사옥이 융합타운 내 입지 시 관계기관과의 업무협력 효율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의견을 내놓았다.

이와 관련, 박재만 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양주2)은 “양주테크노밸리 사업은 사업성과 위치도 좋아 원안대로 통과하기로 했다. 사전에 테크노밸리 특위에서도 현장을 방문해 사전 검토한 바 있어 무리가 없다고 판단했다”면서 “융복합센터 사업 역시 특별한 논쟁이 없었고 다만 다가오는 집중호우에 대한 대비책을 철저히 하도록 당부했으며, 융복합센터의 광범위한 활용방법에 대해 의원들이 집행부의 원안에 동의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함께 상정된 ‘동탄2 문화복합용지(8BL) 관련 보고’에 대해서는 가처분신청 소송과 관련, 협의 진행과정을 본 뒤 추후 다시 회의를 열고 논의하기로 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