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설훈 의원(부천 원미을)이 부천 상동 특고압 수직구 현장을 찾아 불과 8m 깊이로 15만, 34만볼트의 특고압관 매립을 강행할려는 한전 측을 강하게 질타했다.
설 의원은 황진희 도의원과 박병권 시의회 도시교통위원장, 이동현ㆍ양정숙ㆍ박찬희 시의원 등과 함께 송전로 및 수직구 공사가 중단된 현장에 대한 안전점검 및 시찰에 나서 현장 관계자로부터 공사현장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고 4일 밝혔다.
특고압선 사업은 한전이 인천~부천(상동~약대동~중동~역곡동 5.7㎞)과 서울, 광명 등지에 이르는 23.4㎞ 구간의 34만5천V 전력구 공사를 지난 2014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고압송전선로 설치를 둘러싸고 부천시민들은 전자파에 대한 건강상 위해 우려를 제기하는 등 갈등이 반복되어 현재 부천소방서 옆 3번 수직구에서 중원고 사거리 부근인 3km 구간이 굴진이 된 상태에서 사업이 중단됐다.
설 의원은 “처음 40미터 이상으로 매설하겠다는 약속은 이행하지 않고, 기존 154kV선로에 추가로 345kV 특고압선 매립은 전자파를 더 가중 시키는 것” 이라며 “더 깊이 매설해야 할 구간에 대해 한전은 비용절감 이유로 얕은 깊이로 특고압관을 매설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고 항의했다.
또 “지반침하 등 안전문제가 우려된다”면서 “더욱 더 주민들의 의견을 수용해 조속히 공사를 진행하라”며 질타했다.
설 의원은 한전 측이 지반침하 등 주민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데도 주역주민의 말에 소귀에 경읽기식으로 대응하고 있다는데에 강한 불쾌감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한전은 지난해 7월 부천시가 도로점용허가를 내주지 않아 전력구 공사를 위한 굴착 작업을 못하고 있다는 이유로 부천시를 상대로 인천지방법원에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한전은 올해 2월 승소했으나 부천시가 지난 달 7일 항소하면서 공사 중단은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상황이다. 부천=오세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