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측정후 우회·신규터널 논의
주민들 “30m 이하 매설만 수용”
부천시와 지역 정치권, 지역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중지된 부천 상동지역 특고압선 매설사업에 대해 한국전력공사 경인건설본부측이 전자파 측정을 통해 우회 또는 신규 터널 시공 등을 포함한 저감방안을 논의하겠다는 제안을 해 결과가 주목된다.
그러나 지역주민들과 정치권은 특고압선 30m 이하 매설 이외의 어떤 제안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사실상 공사 재개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5일 한전과 주민 등에 따르면 한전 경인건설본부는 최근 호소문을 통해 “특고압에 따른 전자파 실태 조사에 주민들의 동의를 구한 후 전자파 측정 결과를 신뢰할 수 있도록 측정 과정에 한전이 일체 관여하지 않겠다”며 “주민들이 추천하는 조사기관에서 수행하는 것을 제안한다”며 협조를 당부했다.
또 한전측은 지난해 4월23일부터 1년 이상 터널 굴진이 중단돼 지하수 과다 유출이 발생되고 있고 싱크홀, 지반침하로 인한 주민 안전도 위협받을 수 있다며 수직구를 통해 터널장비를 반출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호소했다.
하지만 특고압설치반대학부모모임과 학부모, 설훈 국회의원 및 이동현ㆍ박찬희 시의원, 부천시 등은 전자파 측정 결과를 토대로 저감 방안을 논의하겠다는 것은 결국 한전에 유리한 빌미를 주는 것이라며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박찬희 시의원은 “전자파 측정을 하면 당연히 한전측이 주장해 왔던대로 인체에 무해하다는 결론이 날 것이 뻔하다”면서 “기존 노선에 지하 30m 이하 굴착 매설 이외의 어떤 해결방안도 상동지역 주민들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상동지역 주민들은 “조사기관을 주민들이 직접 선정해도 국내의 조사기관들은 결국 한전이라는 거대 공기업과 연관성이 없다고 볼 수 없다”며 한전 측의 제안에 의혹을 제기했다.
여기에 터널장비 반출과 관련 지역주민들은 안전 우려는 한전 측의 책임이며 장비 반출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전측 한 관계자는 “그동안 해왔던 것처럼 주민들과의 대화 노력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라며 “전자파 발생 정도가 저감방안 수립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전자파 측정이 선행되고 측정결과에 따라 비대위의 안을 포함한 여러 수준의 저감방안을 논의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4년부터 진행된 34만5천v의 특고압선 전력구 공사는 부천소방서 옆 3번 수직구에서 중원고 사거리 부근인 3㎞ 구간이 굴진이 된 상태에서 사업이 중단된 상태이며, 부평구 삼산동부터 부천 상동까지 2.5㎞ 구간은 지하 8m 깊이에 있는 기존 전력구를 활용키로 해 주민들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부천=오세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