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크레인 노조, 파업 하루 만에 철회… 건설업계 ‘안도의 한숨’

노·사·민·정 협의체 구성… “안전 대책·불합리한 관행 개선 논의”

전국 타워크레인 노조가 무기한 총파업을 선언(본보 6월5일자 1면)한 지 하루 만에 파업을 철회했다.

이들은 정부가 소형 타워크레인 등에 대한 제도 개선을 추진키로 하자 더이상 파업을 장기화할 필요가 없다고 본 것으로 분석된다.

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토부는 이날 민주노총ㆍ한국노총 노조와 임대사업자, 시민단체 등과의 협의를 거쳐 노ㆍ사ㆍ민ㆍ정 협의체를 구성했다.

이 협의체를 통해 소형 타워크레인의 규격 제정, 면허 취득, 안전장치 강화 등 안전 대책 및 글로벌 인증체계 도입 등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또 기계 임대사업자 특성에 맞지 않는 계약이행보증제도 개선 등 건설업계의 불합리한 관행을 고치는 방안도 함께 다루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제도 개선과 함께 불법으로 구조를 바꾸거나 설계에 결함이 있는 장비를 현장에서 퇴출하고 모든 전복사고는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할 것”이라며 “제작 결함 장비에 대한 조사, 리콜도 즉시 시행해 건설현장의 안전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김준태 전국건설노동조합 교육선전국장은 “고공 농성 중인 노동자들이 하나둘씩 내려오고 있고, 현장별로 파업에 의한 민ㆍ형사상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요구가 관철되면 금요일부터는 정상적인 공사 재개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