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제3기 수도권 신도시 발표와 관련, 하남교산지구주민대책위원회가 오는 15일 광주향교에서 신도시개발 백지화를 요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연다.
12일 하남교산지구주민대책위원회(회장 석철호)에 따르면 이 지역 주민들은 신도시 발표가 있은 직후 주민대책위원회를 결성해 신도시개발 백지화를 줄곧 주장하며, 하남시청에서 2회에 걸친 대규모 집회와 청와대 앞 집회를 여는 등 강경 투쟁을 이어오고 있다.
앞서 대책위는 사업백지화를 요구하며 지난달 17일 국토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주관하는 전략환경영향평가 주민설명회를 무산시켰다.
대책위는 정부가 50년간이나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해 재산권 행사에 막대한 제한을 가한데 대한 특별한 보상도 없이 피땀흘려 일군 집과 농토를 그린벨트 상태의 헐값으로 강제수용 하겠다는 정부 정책에 대해 분개하고 있다.
석철호 대책위 위원장은 “정부가 과거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세종시를 건설했고 기업도시ㆍ혁신도시 등을 건설해 정부 부처와 공기업들을 모조리 지방으로 이전시켰다”면서 “이제와서 ‘집값을 잡겠다’며 과밀한 수도권에 대규모 신도시를 개발해 인구를 집중시키겠다는 정부의 이중적인 정책에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와 공기업이 1천억 원의 이익을 남겼다고 했던 판교개발사업이 무려 63배가 넘는 6조 3천300억 원의 폭리를 취했다는 사실이 최근 경실련 발표로 드러났다”면서 “교산지구 주민들은 판교개발 폭리를 재탕하려는 정부의 제3기 신도시 개발을 반드시 철회시키겠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하남=강영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