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59ㆍ23기) 서울중앙지검장이 파격적인 기수 파괴 인사로 차기 검찰총장 후보자로 지명되면서 검찰 조직 내 대규모 인사가 단행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17일 문무일 검찰총장(58ㆍ18기) 후임으로 윤 후보자를 지명했다. 1~2기수 후배를 후임 검찰총장으로 임명해왔던 관례를 깨고 5기수 아래를 후보로 내세운 것이다.
그동안 관행을 따른다면 문 총장 1년 후배인 사법연수원 19기부터 윤 후보자 동기인 23기까지 모두 옷을 벗어야 한다. 외부 개방직인 대검찰청 감찰본부장을 제외한 검사장급 이상 간부 40명 가운데 연수원 19∼23기는 31명에 달한다. 고위직 4명 중 3명이 조직에서 물러나는 대규모 인사 파동이 예고된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 같은 인사 태풍으로 인한 조직 내 혼란이 가중되는 점을 방지하기 위해 윤 후보자의 동기(23기) 또는 선배(19~22기) 가운데 일부가 검찰에 남아 조직 안정화에 힘을 보태는 방안도 거론된다.
현재 윤 후보자보다 기수가 높거나 동기인 검사장급 이상은 윤 후보자를 제외하면 30명이다. 기수별로 보면 19기 3명, 20기 4명, 21기 6명, 22기 8명, 23기 9명이다.
실제 지난 2005년 11월 취임한 정상명 전 총장은 안대희 당시 서울고검장과 임승관 대검 차장검사 등 연수원 7기 동기들과 함께 이른바 ‘집단지도체제’를 구성하고 주요 사건 처리 방향 등을 논의했다. 김종빈 전 총장이 천정배 법무부 장관의 수사지휘권 발동을 수용하고 물러나면서 검찰총장 기수가 반년 사이 4기수 내려간 시기였다.
검찰 내부는 윤 후보자 지명을 어느 정도 예상했기 때문인지 비교적 담담한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차장검사급 간부는 “2년 전 ‘정치 검사’라는 이름으로 검사장 일부를 찍어내고 윤 지검장을 발탁할 때와 비교하면 동요하는 움직임은 거의 없다”며 “윤석열 지검장의 동기 검사장들도 상당수는 자리를 지키겠다는 생각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윤 후보자가 국정과제인 적폐청산 수사를 지휘한 상징적 존재라는 점, 민감한 수사를 도맡는 서울중앙지검장에서 검찰총장으로 직행하게 된 점이 결과적으로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 확보를 해칠 것이라는 우려 섞인 시선도 제기되고 있다. 양휘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