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관내 기업 보호 등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 놓았지만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각종 용역 발주의 입찰참가자격을 지역업체로 제한하지 않고 경기도 전체 지역에서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부천시와 지역내 건설용역업계에 따르면 시는 수년 전부터 공사발주나 제품구매에 있어 부천업체 우대방안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지방재정법상 2천만 원 미만은 1인의 견적을 받아 지역업체와 수의계약 할 수 있다. 2천만 원 이상 1억 원 이하도 대부분 나라장터 공고를 통해 2인 이상 전자견적으로 지역업체와 수의계약 할 수 있다.
하지만 시는 최근 고강1교 등 61개소 정기 안전점검 용역을 발주(용역 예정금액 4천40만 원)하면서 입찰 참가자격은 경기도내 업체가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해 지역 제한을 두지 않았다.
반면 시흥시와 고양시 등 도내 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해당 지역업체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역제한을 두고 있다.
시흥시는 최근 장곡지하차도 옹벽 등 3개소의 정밀점검 및 보수보강 실시용역을 발주하면서 시흥시 지역업체만 참여할 수 있도록 했으며, 고양시는 5천500만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도촌천 2교 등 2개소 정밀점검용역을 고양시 지역으로 제한했다.
상황이 이렇자 부천 지역업체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부천지역 건설용역업체 관계자는 “다른 지자체가 지역업체 살리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부천시에서만 유독 경기도 전체 지역에서 입찰할 수 있어 부천 지역업체가 아닌 다른 지역업체가 낙찰을 받아 용역을 수행하는 상황이 만들어 지고 있다”면서 “공공발주 공사는 지역제한을 두어 발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확인 결과 부천 관내에도 시설물유지관리기업이 많아 기존 공고를 취소하고 다시 재공고를 통해 부천 지역업체로 제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부천=오세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