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주민과 등 신설 좌초
시흥시가 인구 50만 대도시 행정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추진 중인 행정조직 개편안이 시의회 심의과정에서 일부 수정되면서 제동이 걸렸다.
당초 시의 조직개편안은 2국 9개과를 신설하는 방안이 상정됐지만, 시의회 심의에서 2국 7개과로 수정 의결된 것이다.
19일 시흥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의회 자치행정위는 이 날 시가 제출한 조직개편안에 대해 당초 2국 신설, 본청 및 사업소에 9개 과를 새로 설치하는 안을 심사해 2국 신설 및 7개 과로 수정했다. 이에 따라 외국인주민과와 예산법무담당관 등 2개 과의 신설은 좌초됐다.
시의회는 또 언론홍보담당관실을 현재 부시장 직속에서 시장 직속으로의 변경하는 안에 대해서도 거부했다.
안선희 시의원은 “2개 직속기구에서 3개로 늘리는 안을 올린 것은 정말 너무하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하려는지, 아니면 욕심이 많은 것인지 시의회를 너무 우습게 보지 말라”고 질책했다.
홍원상 시의원도 “미래전략담당관실은 사업부서가 아니냐, 고충담당관실을 비롯해 시장 직속기구를 모두 부시장 직속으로 내리라”고 요구했다.
상황이 이렇자 앞서 자치행정위원회 송미희 위원장과의 수차례 협의를 통해 2국 9과 신설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던 집행부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송 위원장이 그동안 집행부의 의견을 받아들이는 것처럼 해 놓고 상임위 소속 위원들과는 소통이 부족했던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기 때문이다.
시의 한 공무원은 “담당부서에서 수차례에 걸쳐 해당 상임위원장과 협의과정을 거쳤다는데, 상임위원장은 정작 상임위원들과의 협의가 없었다는 것 아니냐”고 불만을 토로했으며, 또 다른 공직자는 “정책이 결정되기도 전에 과장, 국장 보고도 안하고 시의회에 보고부터 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하소연했다.
이에 대해 송미희 위원장은 “집행부가 제출한 안에 대해 확답을 한 것은 아니었으며, 의원들이 개별적인 의견을 내는데 대해 위원장이 통제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시흥=이성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